국가의 국력 경쟁력 국방 모두 돈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가의 국력 경쟁력 국방 모두 돈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이렇게 국가가 국력이 경쟁력이 추락하고 있는데 이것을 해결할 생각이 정부는 전혀 없어 보입니다 그렇다면 정부가 안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의 국력, 경쟁력, 국방은 모두 경제적 자원이 바탕이 되며,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정부가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고 느낄 때, 시민사회, 기업, 지역 공동체가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은 그 대안들입니다.
---
1. 시민 참여를 통한 변화 유도
정책 모니터링 및 제안: 시민 단체와 전문가들이 정부 정책을 감시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여론을 형성.
투표와 정치 참여: 투표를 통해 더 나은 정책을 제시하는 후보자나 정당을 지지.
사회적 캠페인: 지속 가능성과 경제 성장의 중요성을 알리는 캠페인으로 국민적 공감대 형성.
---
2.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공동체 자립: 지역 단위로 소규모 경제 활동을 활성화하고 지역 자원을 활용한 자립 기반 강화.
예: 농산물 직거래, 지역 화폐, 공동체 기반의 산업 개발.
소셜 벤처: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 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
---
3. 민간 주도의 산업 혁신
기업의 역할 확대: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혁신을 통해 국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민간 주도의 R&D 투자 강화.
교육과 인재 양성: 정부가 소극적이라면 민간에서도 교육기관이나 재단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양성.
---
4. 안보와 국방의 민간 기여
국방 기술 민간 협력: 방위산업의 민간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과 산업 성장 동시 달성.
예비군과 민간 방위 역할 강화: 지역 방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민간의 자발적 참여 확대.
---
5. 경제 자립과 대외 의존도 감소
자급자족형 경제 모델: 농업, 에너지, 제조업 등 핵심 산업의 국산화와 자립성을 강화.
수출 다변화: 특정 국가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파트너를 개발.
---
6. 국민 스스로 국력 키우기
개인 역량 강화: 국민 개개인이 전문성을 키우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국가 경쟁력의 기본.
소비자의 힘: 국내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제품과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소비.
---
7. 협력과 연대
민간 네트워크 형성: 시민, 기업, 단체들이 함께 협력하여 경제, 교육, 복지, 국방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
국제적 협력 확대: 글로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 비정부기구(NGO)나 단체와의 협력 확대.
---
결론
정부의 역할이 부족할 때, 민간 주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는 시간이 걸리고 단기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시민, 기업, 지역 공동체가 협력하면 국가의 경쟁력과 국력을 장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경제적 자립과 교육, 기술 혁신, 지역 공동체 강화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고금리로 물가가 많이 오르고 어려울 때 일본은 저금리 정책을 썼습니다 그것으로 인하여 좋아진 부분도 있습니다 정치는 경제이고 정치는 대화입니다 애초부터 어디 대장급들을 뽑아 놔 가지고 소통 불능 왕을 뽑아 놓은 거 같습니다 이것도 앞으로 더 우리 유권자들에게 성숙된 그러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