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EKOPFG
EKOPFG

한은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였는데요 왜 인하하지 않고 동결한 건가요

미국은 12월에 금리를 인하 하는것으로 조심스럽게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4번 연속 2.5로 동결을 하였는데요 왜 동결한건지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4회 연속 연 2.50%로 동결한 배경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어요.

    가장 큰 이유는 금융 안정 리스크 관리였습니다.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리면 한미 금리 차이가 벌어져 외국인 투자 자금이 유출되고 환율이 급등하여 물가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컸어요.

    또한, 가계부채 증가세와 수도권 주택 가격의 상승세가 다시 나타나고 있어, 금리 인하가 부동산 시장 과열을 부추길 위험도 고려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불안정하고, 한국은행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점도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낮췄습니다.

    따라서 미국 연준이 12월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있지만, 한은은 실제 정책 변화를 확인하고 금융시장 상황을 더 지켜보며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집값 과열 조짐과 원·달러 환율 변동성,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 안정 우려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은 내수 부진과 부동산 시장 불안,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등을 고려해 경기 부양보다는 금융 안정을 중시하는 신중한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기준 금리를 계속 동결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부동산이 이미 너무 과열되었는데

    기준 금리를 내릴 수 없기에

    계속 동결을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한 주죈 이유는 부동산 시장 불안과 가걔부채 급증이라는 금융 불균형 위험 때문입니다. 금리를 인하할 경우 부동산 가격이 다시 오르고 가계대출이 폭증해 경제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에, 물가 안정과 더불어 금융 안정을 우선시하여 긴축 기조를 유지한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통위는 최근의 환율 상황과 부동산 가격 상승 전환을 고려해 금융 안정 기반을 우선 다질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이번에 금리를 인하하지 않은 것은 금리를 인하하면 미국금리와 더 차이가 나서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환율이 더 상승하기 때문에 동결한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