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과거 유럽에서 결핵을 유전병으로 본 이유가 무엇인가요?
과거 유럽이나 동양에도 결핵을 많이 걸렸고 큰 치료 방법이 없어서 많이 사망한것으로 압니다.
그런데 과거 유럽에서 결핵을 유전병으로 보기도 했는데 그 배경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리스에서도 결핵에 대한 기록들이 생기는데, 그리스에서 찾은 것은 폐결핵으로 폐결핵에 대한 그리스어는 phthisis로 히포크라테스의 묘사를 보면 보통 사람보다 더 빠른 시기에 죽음에 다르게 하는 무서운 병이라 기록되며, 여기에 추가로 유전병이라는 말을 덧붙이게 됩니다.
이 말은 유럽 사람들 전체를 가스라이팅 시켜 유전병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핵은 전염병이 맞습니다. 과거 유럽에서는 이 병을 consumption, 즉 갉아먹히는 병이라 불렀을 만큼 지독한 역병으로, 페스트, 인플루엔자, 소아마비, 천연두, 홍역과 함께 가장 많이, 그리고 오래 인간을 죽여온 무시무시한 질병으로, 이 가운데 유일하게 이론상 완벽한 예방이 가능한 예방접종이 아직까지도 발명되지 않은 전염병이기도 하였고 아무래도 과학적인 연구가 미비하였기에 유전으로 치부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