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되알진뿔영양62
되알진뿔영양6222.05.16

제대로 치료가되고 있는게 맞는걸까요?ㅠㅠ

나이
1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조울증약
기저질환
조울증

아이가 지난 겨울부터 급격하게 눈물이 많아지고

하루에도 여러번 기분이 업.다운이되서 고민하다

올 초 동네 신경정신과에 방문했어요.

병원진료 4개월째. .

아이가 약을 먹으면서 좀 괜찮아지는것 같았는데

갑자기 우울증이 와서 잠시 힘들었어요.

그리고 아이에 업.다운은 좀 줄어든것 같은데

약을 먹고나면 너무 무기력해해요.

아무것도 하기 싫다고하구요.잠만자려고해요.

제 옆에서 붙어서 모든걸 다 지켜보고

어디갈까 걱정하구요.

학교가는것도 무섭고 힘이 든대요.

학교가서 조퇴도하고 힘들다고 문자도보내요.

심리센터도 방문해봤는데 거부반응이 너무 심해요

우리 아이 이대로둬도 괜찮을까요?

병원에선 심하면 입원치료를 해야한다던데

그렇게까지해야하나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조울증의 기본적이고 가장 중요한 치료는 약물 치료입니다. 약물 치료를 중심으로 정신치료적 접근을 통합한 포괄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울증은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으며, 우울장애에 비해 양극성 장애의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치료 영역의 발전으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상당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복해서 재발할 경우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통해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등도가 아직은 심하지 않아 입원치료를 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되지만 주치의 선생님의 판단을 따르시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규칙적인 수면, 식사, 적절한 운동 등의 생활습관은 증상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Reference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정확한 상태를 알기는 어려우나 우울증이 있고 만약 주요우울장애에 해당하는 정도라면 입원치료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입원치료로 극적인 호전 및 재발 방지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우며 주위의 도움과 지지 등이 매우 중요하므로 약물 치료와 병행하여 인지행동치료 등을 병행 할 수 있는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하시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통원치료와 약물치료로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조울장애는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조울증은 기분의 변화가 심한 질환이지요. 다소 쳐지기는 해도 기분 변화가 덜하다면 효과는 있다고 봐야 합니다. 정확한 상태는 알 수 없지만 집에서 약물로 더 이상의 조절이 어렵다고 하면 잠시 입원해서 상태를 살피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우울증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우울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트레스 같은 환경적 요인, 뇌의 세로토닌 감소와 같은 유전적 요인이 있는데 과거에는 나누어 보는 경향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후생유전학 연구 발전으로 유전자 발현에 환경이 미치는 영향이 규명되면서 통합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즉 우울즈에 취약한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좋은 환경이라면

    유전자의 발현을 막을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있을수 있는 것입니다.

    일단 우울증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우울감, 무기력감, 불안, 흥미의 저하, 식요장애(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대식증, 폭식장애 등), 수면장애(불면증 혹은 과수면증), 자살에 대한 생각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그 외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집중력 저하, 심각한 체중 변화, 만성 피로감, 두통, 소화불량 등을 겪기도 합니다.

    치료법은 약물치료와 심리치료가 있습니다.

    약물치료: 약물에는 항우울제, 항불안제, 갑상선 호르몬제제, 기분 안정제,

    조현병 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에 관여 하며,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항우울제입니다.

    심리치료: 정신치료에는 인지체계 교정을 위한 “인지치료” , 대인관계 기술을

    위한 대인관계치료 반복되는 패턴의 갈등양상 이면에 숨은 무의식(잠재의식)의 문제를 분석하는 정신역동치료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집단치료, 가족치료 등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