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2

채권에서 듀레이션의 뜻과 금리변화에 따른 가격변동은 어떻게 되나요?

예전에 경제뉴스를 보다가 듀레이션이라는 말이 채권관련해서 나오던데요. 듀레이션이 무슨말인가요? 그리고 금리변화에 따른 가격변동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blue-check
    최현빈 경제전문가23.11.23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채권의 듀레이션은 잔존기간을 의미합니다.

    • 듀레이션은 즉 기간을 의미하며 보통은 길수록 금리가 높습니다.

    •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은 서로 반비례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듀레이션이란 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채권의 실효만기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가중평균만기로서 이자율변화에 대한 채권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써 1938년 프레데릭 맥콜리(F. R. Macaulay)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듀레이션이란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일반화하면 투자자 입장에서 듀레이션이 짧은 채권이 긴 채권보다 유리하며, 주기적으로 이자(금리)를 지급하는 채권이 지급하지 않는 채권보다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채권금리(수익률)이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며, 채권금리(수익률)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의 듀레이션이은 채권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게 되는 평균회수기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듀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로는 채권의 만기, 액면이자율, 그리고 시장 이자율에 따른 '실질이자율'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에요. 보통 채권의 만기가와 듀레이션은 비례하며, 역면이자율과 듀레이션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요


  •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에서의 듀레이션은 내가 투자한 원금이 회수되는 최단기간을 의미합니다.


    가령 10,000원에 3년만기 표면이자 연 2% 채권을 투자했다면 듀레이션은 3이 아닌 3보다 작은 숫자가 될 것입니다.


    표면이자나 매수이율이가 더 높은 채권은 다른 조건이 동일했을 때 듀레이션이 더 짧겠지요.


    듀레이션이 클수록, 대체로 만기가 길수록 가격변화에 민감해집니다.


    채권의 시장금리가 1% 변하면 채권가격은 대체로 듀레이션 X 0.01 수준으로 변하게 됩니다. 물론 다른 이론적인 가격결정 모형이 있지만 직관적으로 듀레이션과 시장이율을 통해 판단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지금과 같이 금리가 하향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듀레이션을 높이는 것이 좋은데 다음과 같은 판단이 나옵니다.


    1. 만기가 긴것

    2. 만기가 같으면 표면이율이 낮은 것

    3. 등급이 낮은것(엄밀히 따지면 듀레이션 이론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듀레이션이란 채권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가중평균만기로서 이자율변화에 대한 채권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듀레이션이 길면 가격변동성이 크고 짧으면 가격변동성이 작습니당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에서 듀레이션(Duration)은 채권의 이자율 변동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듀레이션은 채권의 남은 만기, 이자율, 이자지급 주기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일반적으로 듀레이션이 긴 채권은 이자율 변동에 민감하며, 듀레이션이 짧은 채권은 이자율 변동에 덜 민감합니다. 듀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연 단위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듀레이션이 5라면 이자율이 1%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은 약 5%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화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금리 상승 시 채권 가격 하락: 이자율이 상승하면 채권의 현재 가치가 하락합니다. 듀레이션이 긴 채권은 이자율 상승에 더 큰 영향을 받으므로 가격 하락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금리 하락 시 채권 가격 상승: 이자율이 하락하면 채권의 현재 가치가 상승합니다. 듀레이션이 긴 채권은 이자율 하락에 더 큰 혜택을 받으므로 가격 상승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변화는 듀레이션을 통해 예측할 수 있습니다. 듀레이션이 높을수록 채권의 가격 변동폭이 크고, 듀레이션이 낮을수록 변동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의 가격 변화는 채권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요소이며, 듀레이션을 이해하고 적절한 채권 선택을 통해 이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듀레이션은 예측을 위한 지표로 사용되지만, 실제 가격 변화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에 있어서 듀레이션이란 채권 투자에서 자금이 회수되어지는 평균 만기일 수를 의미하게 됩니다.

    즉,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것에 걸리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다만, 이는 채건의 만기일과는 다른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