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곰살맞은앵무새283
곰살맞은앵무새28321.09.07

무좀 완치는 먹는약만이 정답인건가요?

경구약을 먹지 않고 무좀을 치료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연고 바르고 관리좀 해도 잠시뿐이네요. 특히나 여름엔 정말 괴로울 정도입니다. 각질도 많이 생기다보니 보기도 안좋구요.... 건강한 발을 갖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좀은 곰팡이균이 발에 서식하게 되면서 생기는 습진입니다.

    습진은 가려움증, 물집, 홍반, 부종, 각질등의 증상을 보이는 여러 가지 피부 질환을 통칭하여 일컫는 말입니다.

    흔하게는 접촉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화폐상 습진 등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피부염과 습진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엄밀하게는 피부염이 습진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집니다. 일반적으로는 습진을 다른 질환과 구분하여 지칭하기 보다는 반응성의 변화로 피부의 변화를 보이는 질환군으로 분류합니다.

    습진의 발생에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환경적 요인 중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요인을 접촉하거나 섭취하면 알레르기 습진이 발생하고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개인별로 그 요인을 파악하고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피부보습제를 자주 발라주고, 비누와 향수 등 자극을 줄 수 있는 제품은 본인에게 맞는지 검사를 통한 확인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습진은 종류에 따라 치료기간, 치료강도등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습진에는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건성 습진 등 다양한 질환이 포함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며 악화인자를 철저하게 파악한 뒤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습진의 치료는 습진의 진행 단계에 따라 치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습진의 치료는 무엇보다도 피부과 의사와의 진료를 통한 결정이 중요합니다 .

    ● 급성 습진

    - 확인된 악화 요인을 철저하게 피해야 합니다. 진물이 있는 급성 염증 부위에는 시원한 식염수나 소독작용이 있는 과망간산칼륨 혹은 버로우 용액으로 1일 3~4회 물찜질합니다. 또한 스테로이드 로션과 크림을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습진 부위에 2차 감염이 생긴 경우에는 항생제의 도포 및 항생제 복용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항히스타민제를 단기간 복용합니다.

    ● 만성 습진

    - 습진이 3~4주가 지나도록 낫지 않으면 지속되는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성 습진에서는 일반적으로 피부 건조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보습제를 자주 사용하고 특히 목욕 직후에 전신에 바르도록 해야 합니다.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하되 처음에는 강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호전되면 약한 제제로 바꿔야 합니다. 상기 방법으로 해결 되지 않을 경우에는 면역 억제제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삼성서울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르는 항진균제로 치료를 시도하였음에도 무좀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어쩔 수 없이 경구 항진균제를 복용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항진균제 복용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대부분 특별한 문제가 없으므로 시도해보시길 권고드리며. 무좀이 치료된 이후에는 기존에 신던 신발과 양말류는 되도록 폐기하시길 권고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08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발 무좀의 경우 만성적으로 오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치료를 끝까지 안하고 조금 좋아졌다고 금방 종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발톱에 무좀이 지속적으로 있으면 이것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발무좀을 치료하더라도 다시 균이 발톱에서 발로 옮아가게 됩니다.

    발 무좀의 치료는 항진균제 연고를 바르는 것입니다. 하얗게 각질이 일어나는 병변의 경계보다 1~2cm정도 넓은 부위까지 꼼꼼하게 발라주셔야 하며 하루 한번 내지 두번으로 2-3주간 빠지지않고 꾸준히 바르셔야 합니다. 병변이 사라진 것 같아도 최소 2주는 계속 발라주시는게 좋습니다. 안그러면 재발을 잘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좀의 원인 :

    (1) 환기가 안되는 양말 또는 신발을 신었을 때

    (2) 목욕을 한 후 발을 제대로 닦지 않았을 때

    (3) 피부 사상균이라는 곰팡이균이 피부 각질층에 침투

    무좀의 증상 :

    (1) 염증없이 발가락 사이가 갈라지고 껍질이 벗겨지는 지간형

    (2) 발바닥이나 발 옆에 소수포가 발생하는 소수포형

    (3) 발바닥 전체에 걸쳐서 정상 피부색의 각질이 두꺼워지며 고운 가루 처럼 떨어지는 각화형

    무좀의 치료방법 :

    (1) 항진균제 연고 사용

    (2) 하루 1회 이상 깨끗하게 발 씻기 및 건조

    (3) 통풍이 잘되는 신발 착용 및 자주 갈아 신기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좀의 원인


    무좀이란 곰팡이균 (피부사상균)에 피부표면이 감염된것을 의미합니다.


    온도가 높고 습한 환경에서 잘 생깁니다.


    무좀이 있는 가족구성원과 발수건이나 신발, 슬리퍼등을 같이 쓰는경우 옮을 수 있습니다.



    *무좀의 종류


    1.발무좀


    2.발톱무좀



    *무좀의 치료


    1.발무좀


    (1) 바르는 연고


    - 바르는연고는 짓무르거나 물집 형태의 무좀에 효과가 좋습니다. (굳은살처럼 딱딱한 형태로 나타나는 발무좀의 경우, 바르는연고가 딱딱한 곳을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질연화제를 먼저 적용시킨 후에 바르는 연고로 처치를 하셔야합니다. )


    -allylamine 계열 (곰팡이균이 세포막을 생성하지 못하게함)


    대표 라미* 밞을 깨끗이 씻고 건조된 상태에서 아침 저녁 최소 두번 발라주어야합니다.


    (주의 : 무좀이 나은거 같아도 2~3주는 더 발라주어야하는데 이는 무좀균의 포자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azole 계열 (곰팡이균이 세포막을 생성하지 못하게함)



    (2) 먹는약


    => 굳은살처럼 딱딱한 형태로 나타나는 발무좀에는 바르는약이 크게 효과가 없기 때문에 먹는약도 같이 드셔야합니다.



    2. 발톱무좀


    (1) 페디큐어형태의 바르는 약


    (2) 먹는약


    (3) 루눌라 레이저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먹는약 바르는약 레이져치료가 있습니다.

    3개를 다할때 가장 좋습니다.

    제 답이 굼긍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이기에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도 같이 참고하시고요.

    현명한 결정 하사길 기원드립니다.

    몸 건강 하시고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좀은 곰팡이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곰팡이균은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꽉막힌 신발이나 오랫동안 신발을 착용하시는 경우 습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무엇보다도 습한 환경을 개선해주는 것이 근본치료가 됩니다. 항진균제 연고를 주기적으로 발라주시고, 자주 발을 통풍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좀의 종류에 따라 치료의 방법은 조금 다르답니다. 일반적으로 발가락이나 발바닥의 무좀은 바르는 연고만 잘 발라줘도 괜찮습니다. 발톱에도 무좀이 있다면 먹는 약으로 드시는 것이 필요하지요. 무좀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치료를 잘 받았다고 해도 발이 습하면 다시 재발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특히 여름에는 자주 양말을 벗고 씻고, 말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좀관리는 평소 발의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일단 증상이 시작될 경우 손톱 발톱무좀까지 진행되어버리면 약물을 장기 복용 해야하고 약물복용에도 완치가 쉽지는 않습니다. 양말을 항상 신고 발을 비누로 잘닦고 건조해 발의 갈라짐이 없게 관리하는 듯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좀은 피부사상균에 의한 감염으로, 피부의 각질층이나 손톱 및 발톱 등에 감염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이 유지되는 경우에 감염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건조하기 쉬운 손보다는 양말과 신발을 신고 있어 땀 등에 의해 습하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발이나 발톱에서 더 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후에도 쉽게 재발할 수 있으며 평소에 통풍이 잘 되는 양말과 신발을 착용하고 발을 깨끗히 관리하고 씻은 후에는 잘 말려주어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좀이 있는 경우에는 연고를 발라 치료할 수 있으나 잘 낫지 않는 경우에는 피부과에 내원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