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또래와 상호작용을 언제 시작하나요?
아기와 부모가 항상 같이 있다가 갑자기 다른 친구들을 만나면 낯설어하고 울기도 합니다. 아기가 또래와 상호작용을 언제 시작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과정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수 이씅니 이러한 과정을 지켜보며 아이가 또래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게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기가 외부 사람과 접촉이나 많이 못 보았다는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호 작용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뜻하는 것으로 엄마와 아기가 생활하는 그 자체로 상호 작용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아기가 웃음을 보여 줬다면 그래 우리 아기가 무슨 좋은 일이 있을 까 하면 아이의 행동에 대해 작용을 하는 것이라
할수 있어요
아이와 소통이 되고 상대방 친구에 대해 인지를 한다면 상호작용이 시작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기의 사회성 발달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생후 6개월부터 시작됩니다. 이 시기에는 다른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소리에 반응하며, 미소를 짓거나 옹알이를 하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이후에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하며, 장난감을 가지고 놀거나, 부모나 다른 사람들과 함께 놀이를 하는 등의 활동을 합니다.아기의 사회성 발달은 생후 2∼3개월부터 시작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생후 2∼3개월
타인에게 사회적 미소를 보내며, 눈을 맞추고 성인의 얼굴과 표정에 반응합니다. 울음과 옹알이를 통해 부모나 양육자와 상호작용을 유도합니다.생후 6∼9개월
특정 양육자에게 애착을 형성하며, 부모나 주 양육자가 가까이 있을 때 안전함을 느끼고 분리되면 불안을 느낍니다.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모방은 사회적 학습의 기초가 됩니다.생후 9∼12개월
낯가림이 강해지며, 낯선 사람을 경계하고 두려워 할 수 있습니다.생후 18∼24개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발달하며, 친구와 함께 놀기 시작합니다.생후 36개월 이후
집단 활동에 참여하고, 협력과 경쟁 등 다양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합니다.보통 아기의 사회성 발달은 부모와의 애착 형성을 바탕으로 하며, 가족 구성원, 친구, 교사 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부모는 아기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아기가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보통은 2~3세부터 친구들과 상호작용을 조금씩 시작합니다.
간단한 놀이부터 시작할 수 있고, 장난감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들은 태어나고 첫 해부터 또래와 상호작용의 기초적인 형태를 보이기 시작하지만, 본격적인 상호작용은 대개 18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다른 아기들을 인식하고 옆에 있거나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지만, 서로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지는 않습니다. 이를 "평행놀이"라고 하는데, 아기들은 나란히 앉아 각자 놀이를 하며 간혹 상대방을 흘끗 보거나 흥미를 보일 정도입니다.
24개월 이후, 특히 두 돌 무렵부터는 아기들이 다른 아이들과 조금 더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을 함께 나누거나 간단한 놀이를 같이 즐기려는 시도를 하기도 하고, 서로에게 반응을 보이며 간단한 대화도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는 사회적 기술과 언어 발달이 점점 더 이루어지면서, 협력하고 역할놀이를 하는 등 상호작용의 깊이가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