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22.07.02

고속철도에는 안전벨트가 없잖아요. 자동차보다 속도가 훨씬 빠른데 고속철도는 왜 안전벨트가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결한게244입니다.

    첫번째 이유로는기차의 무게 때문입니다
    KTX의 경우 400톤이 넘고, 다른 기차도 수백 톤에 달합니다. 물체와 부딪쳐도 기차와 부딪힌 쪽에 충격이 가해져 열차 내 승객에게까지 전달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두번째 이유는 긴 제동거리 입니다. 기차의 제동거리는 최대 3km가 넘습니다. 열차가 급제동해도 1분 정도가 지나야 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속도가 느려 승객들이 충분히 자기 몸을 통제할 수 있고 앞으로 튕겨져 나올 가능성도 적기 때문에 안전벨트가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세번째 이유로는 열차 사고가 났을 때 승객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아야 기차 탈출이 더 빠르기 때문입니다. 열차 사고는 탈선으로 인해 승객이 튕겨 나가는 것보다 대부분 열차가 넘어지거나 뒤집혀 차체가 찌그러지면서 승객의 몸이 좌석에 깔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으면 대피와 구조작업을 지연 시켜 탈출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겠어요


  • 안녕하세요. 스피드타조입니다.

    자동차의 경우 차선변경, 차들도많고 초보운전등 돌발의 행동들이 많지만 철도경우 차선변경의 위험,제동, 위험의 요소가 적습니다. 탈선은 있긴하지만 극소수고, 이런차이라 보심될거같네요


  • 안녕하세요. 자드락비입니다.

    안전한 전용도로를 가지고 있어 다른 이동 수단들과는 달리 급제동 같은 돌발, 변수 상황이 없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2

    안녕하세요. 조그만벌295입니다.

    열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는 열차의 제동거리 때문입니다. 다른 이동수단에 비해 열차는 상대적으로 제동거리가 길어 급제동으로 인한 좌석에서 튕김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탁월한동고비138입니다.

    아무래도 급정거,급작스러운 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적기 때문에 안전벨트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탈선햇을 때 다치는 승객들이 나오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