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젊은흑로72
젊은흑로72

백신접종률이70프로가 넘었는데 왜 확진자는 늘어나나요?

궁금합니당백신접종률이70프로가 넘었는데 왜 확진자는 늘어나나요? 백신을 맞아야할지 헷갈려서 물어봐용 ㅎㅎㅎ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변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항체 농도가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돌파감염이 늘어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

      돌파감염이 많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이 지나서 항체수준이 많이 감소하게 되어 돌파감염이 많이 이루졌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부스터샷을 권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백신의 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현재 주요 변이는 델타 변이로 감염력이 뛰어나고 기존 백신을 회피하여 백신 접종완료자를 감염시키는 이른바 돌파감염이 많아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부분은 돌파감염이 일어나더라도 백신 접종군에서는 병원입원이나 중증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여전히 백신 접종은 위험성보다 그 이득이 훨씬 크다고 판단하여 권고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한다고 무조건 감염이 안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로는 4가지 정도 생각해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1. 백신 접종 뒤 일정시간이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진다.

      2. 백신 접종 뒤 2주정도 지나야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다.

      3. 아직 안맞은 30%가 있기 때문이다. 아직 미접종자는 1000만명이나 된다.

      4. 바이러스 감염이 활발한 겨울에, 방역을 완화해서 더욱 감염이 일어나기 쉽다.

      비록 백신을 맞더라도 100% 예방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감염을 어느정도 예방해주고 중증화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해주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감염자의 95% 이상은 델타바이러스 입니다.

      델타 바이러스감염의 경우에는 코로나 백신의 효과가가 미미하기 때문에 감염자가 늘고 있는것으로 보여요.

      델타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도 백신을 접종했을 경우에는 중증도로 진행되는 확률이 매우 낮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진 약사입니다.

      백신이 코로나감염을 100% 예방할 수는 없습니다.

      코로나19 백신에 의한 감염예방 효과는 82.6%로 백신접종 완료자라고 하더라도 코로나 감염의 위험은 있습니다.

      또, 코로나 19백신을 접종완료 했더라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면역이 형성되지 않거나 면역이 형성되기 전에 또는 시간이 흘러 형성된 면역의 효과가 떨어지면 코로나바이러스-19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위드 코로나를 실시하면서 약속, 모임이나 회식이 잦아지면서 사람들과의 접촉이 잦아지고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게 되다보니 확진자의수가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다만, 백신접종자의 중증 악화 예방효과는 85.4%, 사망 예방효과는 97.3%로 백신접종 후 코로나감염시 중증악화 및 사망을 막을 수 있어 백신접종은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미접종자인 중학생 고등학생들을 기반으로 많이 퍼지고 있습니다.

      아직도 퍼지는 이유의 대부분은 미접종자인 만큼

      접종하면 확실이 코로나 감염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백신 접종을 하여도 예방률이 100프로는 아니기에 돌파감염의 위험은 있으나 미접종자보다는 확률은 낮으며 돌파감염율을 정확히 보고된바는 없습니다.하지만 백신 접종시 코로나 감염시 중증증상으로 진행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며 사망률 감소에는 효과적입니다.

      백신접종후에도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백신을 접종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체내 면역체계를 갖추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백신접종률은 늘었지만 현재 위드 코로나 이후 돌아다니는 사람이 많다보니 아무래도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해당하는 부분은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확진자 줄어들 것으로 기대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확진자의 수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이유는 백신 접종률이 아무리 올라갔다 하더라도 정부에서 시행하는 위드 코로나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신을 접종 받는다고 하여 감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한 상태에서 위드 코로나를 시행하여 사람들의 서로간의 접촉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버렸으니 자연스럽게 확진자는 늘어나는 것입니다. 당연한 현상입니다.

    • 백신 접종을 완료한다 하더라도 코로나에 감염이 완전히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초기 연구 결과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코로나19 예방률은 62∼70%이고, 화이자 백신의 예방률은 약 95% 정도로 높은 편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감소할 수 있어 부스터샷 접종이 필요한 상황이고 바이러스도 변이를 통해 돌파감염을 일으키고 있으므로

      예방률은 점점 떨어지게 됩니다.

      현재는 위드코로나로 인해 외부접촉이 거리두기 단계가 높을때에 비해서 훨씬 많을 수 밖에 없으니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떨어지는 백신 효과" "변이 바이러스 출현" "외부 활동 증가로 인한 접촉 증가" 이렇게 3가지등에 의해

      확진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백신접종을 완료하였다면 감염이 되더라도 사망이나 중증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크게 위험하지 않다는 가정 하에 위드코로나를 시행중이고 이제는 확진자 수도 중요하겠으나 그것보다는 중증 환자 수가 증가하는것이

      더 중요한 상황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몸에 항체가 생기게 되고, 대부분 바이러스 예방이 가능한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항체가 생기지 않거나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 돌파감염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현재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은 위드코로나 초기라서 보이며, 향후 시간이 지남에따라 서서히 안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감염예방효율은 존재하지만 델파바이러스 등 돌파력이 높은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감염예방률이 60%대로 남아있습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가면서 거리두기가 완화되어 사람들 간의 접촉이 증가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해도 코로나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백신으로 생긴 항체로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것이지만

      변형된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효과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이 100%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에 감염된후 바이러스가 잘 통제가 안된다면 감염력이 생길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현재 위드코로나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백신 접종이 모두 끝나시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크게 감소하지만

      돌파감염, 코로나 변종으로 인해 100% 안전하게 방어해주진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일에 대비하여 마스크는 계속 착용해주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