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꽤나호탕한옹심이
꽤나호탕한옹심이
22.02.03

상온에 물을 오랜 시간 두면 생기는 기포? 물방울은 무엇인가요?

오랜 시간 상온에 있었던 "물이 든 컵"을 보면 항상 기포 방울이 있더라고요.

1 컵 안쪽 표면에 기포방울 같은 게 붙어있던데 이건 뭔가요? 왜 생기는 건가요?

2 그리고 기포가 생긴 이 물을 마셔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길쭉한날쥐200
    길쭉한날쥐200
    22.02.05

    안녕하세요.

    상온에서도 물은 아주 느리지만 증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오래 놔두게 되면 물의 수면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증발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기포 같이 보이는 것들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뚜껑을 잠근 상태의 용기라면 용기 윗부분에 증발된 물방울들이 맺혀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포자체는 전혀 해로운것이 아니나, 상온에 오래 방치되어 먼지나 세균등이 물에 들어가거나 번식할 수 있기에 마시지는 않는것이 좋습니다.

  • 상온에 두었던 물이나 음료에서 생기는 기포나 물방울은 대부분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이 물 표면에 끌려와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기포와 물방울은 대부분 물이나 음료에 있는 미생물, 먼지, 화학물질 등의 입자들이 물 표면에 달라붙어서 형성됩니다.

    물방울이나 기포의 크기와 개수는 물의 순도와 온도, 주위 환경의 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물방울이나 기포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번식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마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이나 음료에 녹이나 균이나 먼지 등이 섞여있을 경우에는 안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물이나 음료를 깨끗하게 보관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경우는 새로운 물이나 음료로 대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물 속에도 기체가 섞여있습니다.

    온도가 낮으면 기체는 더 많이 녹아있습니다.

    그런데 물의 온도가 올라가면 기체는 물 속에 있지 않고 물 속에서 빠져나가려고 합니다.

    겨울철의 물이 굉장히 차갑기 때문에

    물이 따뜻해지면 물 속에 있던 산소가 빠져나가게 되고,

    산소 기포가 생겨 물이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기포가 물속에서 빛을 난반사시켜 불투명한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백수현상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