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어지러움이잇고 일주일동안머리가미치게아파서 CT찍엇는데 아무이상없다고나왓습니다
평소에 가끔어지러움은
좀잇엇지만..
엊그제는
이틀정도 머리가굉장히아프고
망치로 때리듯이 퉁퉁치듯이
아프고 멍하고
발음도잘안되고 해서
CT찍엇는데 아무이상이없다고나왓어요 약탄거잇구여
근데 약먹어도 아픈데
MRI나 MRA찍으면
CT로안보엿던것도 보이나요
친척이 뇌꽈리수술햇는데
증상이비슷한데
유전일 가능성이잇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두통의 종류에는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집성 두통이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머리에 띠를 두르는 양상으로 통증이 주로 발생하며 두통의 약 75% 이상을 차지합니다. 편두통은 박동성으로 통증이 오는 경우가 많으며 통증 전에 전조증상인 구역, 구토, 빛과 소리에 대한 과민반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군집성 두통은 드물지만 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수일, 수주 동안 심한 강도로 통증을 동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해당 두통마다 치료는 조금씩 다르므로 일단 신경과에 내원하시어 두통에 대한 정확한 진료를 받으신 후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MRI등이 뇌를 관찰하는데 더 민감도가 좋지만 검사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담당의사와 먼저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CT로 볼 수 있는 것은 골절, 뇌출혈 등 한정적입니다. 그래서 MRI, MRA 찍으면 CT에서 안보였던 것이 보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일단 CT검사에서 이상이 없었다면 진통제를 드시면서 기다려 보셔도 됩니다. 약을 먹는다고 정상으로 나오지 않거든요. 만약 통증이 지속된다면 MRI검사를 해 볼 수는 있습니다.
뇌꽈리는 가족력이 있기는 합니다. 직계 가족의 가족력이 있다면 혈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CT랑 MRI는 보는 질환이 다르기 때문에 CT에서는 확인가능하나 MRI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한 것이 있고
MRI에서는 확인이 가능하나 CT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한 것이 있습니다.
젊은 연령이라 뇌경색보다는 뇌출혈등을 염두해두고 CT 및 CT angio를 촬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MRI는 흔히 풍이라고 말하는 뇌경색이나 종양등을 보기에 조금 더 용이하며,
뇌꽈리등은 angio를 촬영했다면 CT에서도 확인가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