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언제나 상냥하게
언제나 상냥하게
22.03.01

아이가 게임에 현금을 써달라고 하네요 어쪄죠?

아들이 8살입니다

게임을 시켜주고는있는데 현질을 해달라고 자꾸 울면서 부탁하고 그러는데

한번시켜주면 계속 해달라고 할까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있네요

어떤게 제일현명한방법일까요?

저는개인적으로 현질은 반대하고생각하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질은 초등 고학년 쯤에나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너무 빠른 것 같습니다

    지금 한다면 돈도 문제겠지만, 아이의 게임 시간은 더 늘어날 것입니다.

    게임을 허락해준 것 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에게 차분하게 현질이 왜 하고 싶은지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시고 하면 안되는 이유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설명 하셔야 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8살 아이면 충분히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이에게 게임보다 현금의 가치가 훨씬 더 높은 것이라는

    것을 잘 타이르듯이 달래주세요.

    말씀하신 것처럼 한 번의 구매 이후에는 다시 또 조르게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 이런 곤란한 상황입니다. 게임중독이 되면 빠져나오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더구나 현질을 시작하게 되면 쉽고 빠른 보상을 얻기에 헤어나오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아이가 넘 실망하고 우는 모습에 어려우신 상황이실텐데 안되는 것은 안되는 것입니다. 게임을 해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서 보상을 얻는 것은 괜찮지만 현질은 안된다고 명확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청소년이 되면 더 큰 액수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빠져들 수 있으니 단단히 마음먹고 선을 딱 그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질하는게 습관이 되면 고치기가 매우 힘듭니다.

    아직 아이가 어리니 절대 안된다고 단호하게 얘기 하십시요.

    게임보다 더 재밌는 장난감을 택하게 하는 것도 방법일 듯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조건 반대를 하기 보다는 아이와 대화를 통해 해결해보시기 바랍니다. 현질을 왜 하려는 것인지 아이에게 설명을 들어보시고, 타당하다면 어느정도 아이의 요구사항을 들어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든 게임에서의 현금을 사용하는것은 부적하다고 생각합니다. 적절한 훈육이 필요하겠습니다.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속에서 아이는 친구들과 소통하고 관계를 형성하기때문에 아예안돤다고 딱잘라 말하시는 것은 안될 것 같습니다

    다만 아이가 이제 이해할 수있는 나이이니 특별한 날이나 아이가 성적을 잘 받은 경우에 칭찬의 의미로 소액을 해주시는 것은 나쁘지않을 것 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