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끼리는 백신부작용 증상이 비슷한가요?
어딘가에서 '유전자가 비슷한 가족들끼리는 백신 접종 후 증상이 비슷하다' 라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화이자를 맞는 가족들 중엔 제가 제일 먼저 2차를 맞아서 괜찮으면 좀 안심시킬까 하는 생각에..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개개인마다 면역체계 및 체질이 다르기에 백신 접종후에 다른 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백신 접종후에 접종부위 통증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증상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주사부위는 문지르지 말고 냉찜질을 하시는 것이 통증과 열감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접종당일은 샤워는 피하시고 24시간 이후에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접종후에는 3일정도는 음주는 피하셔야 하며 무리한 운동 및 활동은 피하시고 이상반응여부를 지켜보고 휴식을 취하길 권장드립니다. 접종후 열감이나 두통 오한에는 아세트아미노펜성분의 해열 진통제를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약은 미리 복용하실 필요는 없으며 불편한 증상이 있는 경우 아세트아미노펜 1정에 500-650미리 기준 한번에 1정씩 4시간 간격으로 하루 최대용량 4000미리까지 복용가능하며 그 이상 복용시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음주전후에는 절대복용하시면 안됩니다.
약복용후에도 증상 개선이 없거나 지속적인 부작용 발생시 접종과의 인과성 파악을 위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전자의 영향도 있겠지만
컨디션의 차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증상이 비슷하다는 것은 정확한 답변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 후 심한 또한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에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부작용의 발생은 단순히 백신 성분에 대한 몸의 반응이기 때문에 유전적인 것은 관계가 없습니다. 가족들끼리 모두 비슷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무작위적인 것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그렇다는 연구결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제 주변은 가족단위로 이상반응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듯 합니다. 그런 가족도 있을 것이고 아닌 가족도 있을 것입니다.
백신 접종후 열감, 오한, 근육통, 관절통, 두통 등의 전신반응과 접종 부위 통증, 발적, 부종 등의 국소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성분의 약을 복용하시면 됩니다. 회사에 관계없이 성분을 보시면 됩니다.
백신 접종 부위 가려움증, 발적, 붓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심하거나 길게 지속된다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가벼운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장약을 복용하시면 됩니다.
이상반응을 예방할 목적으로 미리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접종 후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드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이상반응은 백신의 부작용이 아니라 우리 몸이 코로나19에 대항하기 위한 면역력을 기르는 과정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접종 3~7일 후 자연스럽게 사라지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불가피하게 발생한 이상반응에 대해서는 질병관리청에서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니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부작용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족끼리 꼭 비슷하다고 볼 순 없습니다.
또한 나이대나 몸상태에 따라서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차 접종 후 고열 근육통 오한등의 부작용이 동반된 경우 경험적으로는 2차 접종에서 동일 증상이 훨씬 덜하게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1차 접종때 이상이 없었던 분은 경험적으로 1차보다 2차접종때도 특별한 증상 없이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통증 및 부작용의 여부와 항체 형성정도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족간의 연관성도 불명확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의 정도와 평소의 면역력과의 상관관계는 없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이상반응의 정도와 항체생성 정도도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합니다. 이유는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진바 없으나 이상반응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주의깊게 관찰하십시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증상은 있을수도/없을수도 있습니다. 백신 맞으십시오.
근육통은 냉찜질/약을 드시면 며칠내로 호전이 됩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445151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30004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제각각 다릅니다.
코로나 백신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발열 근육통 두통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다른 백신들에 비해 부작용의 빈도가 많은 편이지만 모두에게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당연히 맞고 나서도 멀쩡한 사람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백신의 효과가 없는 것도 아니고 백신이 잘못된 것도 아닙니다.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안 아프면 다행이라고 생각 하는게 좋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예상 가능한 국소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다만 사람마다 면역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증상도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반응으로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백신 부작용 증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백신접종후, 접종부위 부종이나 혈종, 통증, 근육통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화이자,모더나의 경우 드물지만 심근염, 심낭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4일안에 보통 증상이 나타나며, 빈맥, 호흡곤란, 흉통 등이 생긴다면 신속히 병원으로 방문하셔야 합니다. 보통 백만명당 3.5명정도 발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8-29세 남성은 발병율이 더 높은데, 100만명당 24.3명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젊을 수 록 보통은 면역활동이 강하기 때문에, 백신접종시 부작용이 더 심한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 남깁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의 부작용 빈도는 독감 백신의 부작용 빈도보다 약간 높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공포감이 조성되어 있는데, 전 국민의 관심이 코로나 백신에 몰려 있기 때문에 뉴스 보도 빈도가 늘어난 데 대한 단순한 노출 증가로 판단됩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와 모더나 RNA 백신 모두 다른 백신들과 비슷한 부작용을 유발합니다.
백신 접종 후 열감, 오한, 근육통, 관절통, 두통 등의 전신 반응 및 주사 부위 통증, 발적, 부종 등의 국소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압 저하나 호흡 부전을 동반한 아나필락시스 반응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모두 백신 부작용은 주로 2회 차 접종 후 많이 발생했습니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2회 차 접종 후 16%가 발열, 26%가 두통, 38%가 근육통을 호소했고 모더나 백신도 유사하였습니다.
장기적인 합병증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지만, RNA 백신은 새롭게 시도되는 종류의 백신이기 때문에 장기 합병증 발생에 대해 추적 연구가 필요합니다.
아직까지는 만성 질환자에서의 부작용에 대한 데이터가 많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어느정도 가능성은 있으나 부작용은 크게 상관 없습니다.
항체 생성이나 몸의 상태는 어느정도 유전의 경향성이 있으나,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부작용은 크게 관련성이 없습니다. 접종할 당시 몸의 상태에따라 부작용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나이나 환경, 몸의 상태 등 모든 영향인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비슷할 수 있으나 개인의 면역 반응이 더 큽니다. 부작용 및 통증 등은 사람에 따라 다르며 1차 접종시 통증이 크다 하더라도 2차 접종시에 어떻게 반응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예측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람마다, 그리고 같은 사람일지라도 그날의 컨디션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부작용의 정도는 천차만별로 나타납니다.
가족일지라도 증상이 비슷한 것은 아닙니다.
너무 걱정 마시고 백신접종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전자가 비슷하여 백신에 대한 반응이 비슷할 수 있으나 100% 같거나 하지 않습니다.
개인의 면역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즉 외부 물질이 몸 속에 들어오면 우리 몸의 면역 세포들이 반응하게 되고 이때 부종, 통증 그리고 홍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종이 심할 경우 주변 조직을 압박하기 때문에 압통 등이 흔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또한 사람에 따라서 면역 기능이 약하거나 강할시에 통증의 강도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통 2~3일 정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흔하며 그 이후에도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 방문 후 검진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