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고릴라153
푸른고릴라15323.02.26

2차 세계대전에 미국에 참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2차 세계대전에 미국에 참전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차 세계대전에 어떻게 미국이 참전하게 되었는지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이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미국은 독일과 일본의 확장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국제적인 책임을 지게 되었습니다. 독일은 유럽의 대부분 지역을 점령하고, 일본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확장하면서 미국의 이익과 안전을 위협했습니다.

    둘째, 미국은 전 세계적인 자유와 민주주의를 보호하고 싶었습니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나치 독일의 인종 차별주의와 전쟁 중 벌어지는 식민주의적인 행위를 반대했습니다. 미국은 이러한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민주주의 운동을 지원하고,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함으로써 이러한 민주주의 가치를 보호하고자 했습니다.

    셋째, 미국은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전쟁을 통해 미국은 무기 생산과 물자 공급 등을 통해 경제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는 전쟁 이후 미국의 경제적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차 세계대전에 미국이 참전하게 된 역사적 배경은 이러한 이유들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941년 일본의 펄하버 공격 이후 미국은 독일과 일본에게 선전포고를 하여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전쟁 이후 미국은 세계의 대세를 주도하는 대국으로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세계 제 2차 대전에 참전한 이유는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인하여 참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전에 영국의 처칠과 소련 스탈린의 끊임없는 요청으로 군수물자와 식량 등의 물품을 주로 지원해주는 것에서 진주만 공습으로 인해 결정적으로 미국이 참전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2차 대전에서 미국 정부는 일본의 암호해독을 하면서 기습 징후를 발견했고 영국이 나치에게 밀리자 미국 정부는 전쟁 참전 명분을 만들 계획을 세우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결국 일본 내 강경파인 '도조 히데키'가 일본 전시총리로 지명되면서 일왕 히로히토는 '진주만 공습'을 승인하게 되는데요. 결과적으로, 진주만 공습을 당한 미국은 공식적으로 2차대전에 참전하고 자연스럽게 연합국 편에서 전쟁에 임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미국 학교 다니면서 교과서에서 배운 이유

    일본과 독일을 무찌르므로써 핵폭탄 위력 과 미국의 위엄을 전세계에 과시하고 알린다

    공산당과 사회주의가 전 아시아 국가 유럽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아내고자

    전쟁을 끝내고 평화를 도약하기 위해서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세기부터 벌어진 식민지쟁탈전으로 전 세계가 시장확보를 통한 원료공급과 강제노역 확보가 관건이 되었는데 이런 식민지로 인한 폐해를 없애고자 미국의 윌슨대통령은 민족자결주의를 주장하면서 강대국들에 의한 약소국의 침탈을 비판하면서 정의전쟁을 선포합니다. 이것이 1919.3.1운동의 기포제가 되고 중국의 5.4운동에 영향을 주었으며 결국 제1차 제2차 세계대전까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이 2차 대전에 직접적으로 참전한 계기는 바로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은 제2차 세계 대전의 태평양 및 유럽 전역에서 미국의 개입에 대한 논쟁을 종식시켰습니다. 공격 다음날 의회는 단 한 표의 반대표로 일본 제국에 선전 포고했다고 합니다.

    The Japanese attack on Pearl Harbor on December 7, 1941, gave a strong reason to USA in both the Pacific and European theaters of World War II. The day after the attack, Congress declared war on Imperial Japan with only a single dissenting vote.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과 미국은 전쟁을 한 차례 치른적 있지만 미국의 태생자체가 영국이기 때문에 미국과 영국은 형제의 국가라고 합니다.

    실제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위대한 승리의 발판을 마련한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 당시 루스벨트 대통령은 영국 선시 총리 윈스턴 처칠과 편지를 주고받을 정도로 각별했다고 합니다.

    특히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과 영국 전시총리 윈스턴 처칠이 만났을 때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은 영국과의 의리를 절대 저버리지 않는 다는 식의 이야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미국 정부는 일본의 암호해독을 하며 기습 징후를 발견했고 영국이 나치에게 밀리자 미국 정부는 전쟁 참전 명분을 만들 계획을 세웁니다.

    결국 일본 내 강경파인 도조 히데가 가 일본 전시 총리로 지명되며 일왕 히로히토는 진주만 공습을 승인하는데 그 결과 1941년 12월7일 오전 일본은 미국 하와이 준주 진주만을 공습하고 미국은 진주만 공습으로 2차세계대전 참전 명분을 만들었고 미국은 일본에게 선전포고를 합니다.

    미국이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자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역시 미국에게 선전포고를 하고 미국은 2차세계대전 참전 선언 후 태평양 전선보다 유럽 전선부터 최대한 빨리 끝내자고 했다고 합니다.

    실제 2차세계대전 당시 영국이 나치에게 봉쇄당하자 미국 여론은 영국을 구해줘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미국은 영국을 도와줘야 한다는 내부 여론의 명분이 아닌 진주만 공습 보복에 의한 참전여론을 조성했습니다.

    미국이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유가 영국 때문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