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사일러스
사일러스

학벌없는 사회가 과연 바람직한 사회일까요?

학벌주의가 없을 수는 없겠지만,

학벌이 없는 사회가 과연 현실적으로도 옳은 사회일까요?

학벌이라는 것도 엄연한 경쟁의 산물아닌가요?

학벌없는 사회가 과연 사회를 이끌어나갈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학벌은 어느 사회에서나 존재 합니다. 미국도 아이비리그라고 해서 하버드(Harvard), 예일(Yale), 프린스턴(Princeton), 브라운(Brown), 펜실베니아(U-Penn), 콜롬비아(Columbia), 다트머스(Dartmouth), 코넬(Cornell)까지 총 8개의 대학연합을 최고의 대학이라고 해서 다른 학교들과 구분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한떄 SKY 대학 이라고 해서 서울, 연, 고대를 지칭하는 말로 써 왔구요. 결국 학벌은 존재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건 자본 주의 사회에서 돈을 누구나 똑 같이 벌 수 없는 이유와 같습니다. 다만, 학벌은 존재 하되 학벌의 차이로 인해서 차별을 두는 것을 하지 말자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좋은 대학교를 나온 사람이 대기업에 들어 갈 수 있는 자격이 있고 지방대를 나온 사람은 대기업을 들어 갈 수 있는 기회조차 안주는 것은 너무 가혹한 일이기에 그런 차별을 없애자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