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4.11

조선시대에도 국방에 의무가 있었나요?

문득 궁금해 지는데 조선시대에도 현재 처럼 남자의 국방의 의무가 있었는지 그리고 별도로 출생신고가 없넜을거 같은데 어떻게 나이를 알았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병역 의무 기간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요즘은 육군을 기준으로 ‘18개월 복무’로 깔끔하게 끝나지만 조선시대에는 16~60세까지 병역의 의무를 져야 했다고 합니다.

    1년에 2~6개월씩 교대하기는 했지만 호호백발 할아버지(60세) 때까지 의무를 감당해야 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평시에도 16세부터 60세까지 모든 남자에게 국방의 의무를 부여하는 국민개병주의 체제로 발전하였는데, 일부에서는 병역의무를 면제해 주는 대신 삼베나 무명을 납부 하는 군포제 (軍布制)를 실시하다가, 이로 인한 백성의 부담이 크다 하여 종래 납부하던 군포의 양을 반으로 줄이고 그 부족분을 어업세ㆍ소금세ㆍ선박세 등으로 보충한 균역제 (均役制)로 변경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16세 ~60세의 남성은 대부분 병역의 의무를 지어야 했습니다.

    이를 가리켜 양인개병제 라고 하는데요.

    양인은 양반, 상인, 농님을 가리키는 말로 예비관료인 유생들 관가와 양반가에 소속된 관,사노비를 제외하면 모두 군대에

    가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호패가 있었습니다.

    호패는 오늘날의 신분증과 같습니다.

    호패는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닌 신분증 입니다,

    이 제도는 고려 공민왕 때 처음 시행 되었으나 조선 3대 태종 때에 들어와 비로서 전국으로 확대 실시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역 이라고 해서 16세부터 60세까지의 남자라면 전부다 노역

    그러니까 노동으로 내는 세금 같은게 있었는데

    여러 종류 중에 군인 일 하는 군역또한 있었습니다

    못일하면 면포라는 추가 세금을 내야 했죠

    조선시대에도 인구조사 정도는 당연히 했구요

    다만 현재와 같은 컴퓨터 전산망이 없었기 ㄸ문에

    다 손으로 직접 써서 기록해야 했고

    그래서 오류가 많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