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훈민정음 창제와 그 이전의 의사소통질문
우리가 말하고 있는 말은 조선시대에 가도 단어나 사투리 말고는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만 글자만 다를 뿐이잖아요?
그러면 그 한참 전인 고려나 삼국 단군 때에도 우리는 한국어를 썼을까요?
글은 없어도 말은 지금처럼 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은 오랫동안 우리말을 썼던 것으로 보입니다. 단적으로 삼국의 모임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아무 어려움 없이 의사소통을 한 사례가 있으니까요. 신라는 한자를 우리식으로 변형해 이두라는 것을 만들어 썼으며, 지배층은 신라에서 조선까지 한자를 사용했지만, 일반 백성들은 글없이 우리 말을 계속 써왔습니다.
한자는 문자이지 우리 언어생활을 모두 포괄할 수 없기에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해 한자어와 우리말이 연결되어 우리 언어 생활이 문자생활과의 일치성이 커지게 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말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습니다. 이유는 언어는 시대를 거듭하며 축적되고 발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고조선 이전에는 지금과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