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hswisdom
hswisdom23.03.10

깡통전세, 역전세 라는 무슨 뜻일까요?

깡통전세, 역전세 라는 무슨 뜻일까요?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낮아진다는 느낌인 것 같기는 한데 둘다 안 좋은 것 같기도 하구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0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깡통전세는 전세보증금이 매매 가격과 비슷하거나, 높아졌을때를 말합니다.

    이때 임대인이 집을 매도 해도 전세보증금을 반환하기 힘들기에 안좋은 상황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역전세는 기존 세입자 보증금이 높은 상황에서 계약이 종료될때 보증금이 낮아 졌다면 임차인은 재계약시 보증금 조정을 요청 할 수 있고, 이때 임대인은 그 차액 만큼을 반환 하고 재 계약 해야 합니다.

    이때 임대인은 그 차액 금액을 반환 하는 대신 금리를 계산하거나, 아니면 일정 금액을 매월 지불 하겠다고 하고 계약을 연장 하곤 합니다.

    이런 계약이 발생될때를 역전세라고 합니다. 임대인이 오히려 임차인에게 월 일정 금액을 지불 하는 계약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깡통전세는 임차주택의 시세가 현 전세보증금 보다 낮아져 해당 주택을 매도해도 전세금을 돌려줄수 없는 주택을 말하고, 역전세는 재게약시 시세하락으로 인헤 보증금에 일부를 반환해주어야 하는 것으로 보증금 차액만큼 보증금 반환대신 해당 이자를 임차인에게 지급하는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집값이 많이 떨어지다보니 전세금에다 대출까지 있을시 집을 판다해도 집주인이 가져 갈게 없을뿐더러 전세금도 부족하다는 소리입니다

    역전세는 요즘 전세가가 많이 떨어지다 보니 집주인이 전세금을 떨어진만큼 돌려주거나

    현금이 없을시 그금액만큼 이자를 주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승일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격이 매매가보다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집을 팔아도 남는게 하나도 없겠죠..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1. 깡통전세의 2가지 뜻 설명드리겠습니다.

    1) 매매가 떨어져서 전세가가 더 높아진 경우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

    2)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지 못해서 집주인이 기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못돌려주는 상황

    2. 역전세의 2가지 뜻도 설명드리겠습니다.

    1) 매매가 떨어져서 전세가가 더 높아진 경우 (가격 역전 현상)

    2) 전세에 대한 수요 감소로 세입자 구하기 힘든 상황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