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화끈한가재38 맹꽁이
화끈한가재38 맹꽁이

은행 담보대출의 경우 대출금리를 산정하는 기준은 무엇이 있나요?

은행에서 담보대출을 받으려고 하는 경우 대출금리가 상황에 따라 모두 다르더라구요.

대출금리를 산정하는 기준은 무엇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은행에서 대출금리를 산정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기준금리가 있습니다. 이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나 시장금리에 따라 변동하며 대출금리의 기초가 됩니다.

    두 번째로 신용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개인의 신용등급에 따라 대출금리가 달라지며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대출금리가 낮아집니다.

    세 번째로 담보가치가 있습니다. 대출을 위한 담보물의 가치가 높을수록 대출금리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대출 기간도 영향을 미치는데 대출 기간이 길어질수록 금리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대출 금액이 큰 경우 금리가 높아질 수 있으며, 각 은행의 대출 정책에 따라서도 금리 산정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은행의 대출금리는 은행 내부 기준에 의해 정해집니다.

    신용점수, 소득, 담보, 대출금액, 기간등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되기에 어느 하나의 기준으로 책정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담보대출 금리를 산정할 때 여러 기준을 고려합니다. 대표적인 기준으로는 기준금리(코픽스 또는 CD 금리)가 있으며 시장의 금리 변화에 따라 조정됩니다.

    여기에 개인의 신용도와 대출 담보물의 가치가 반영되어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평가합니다. 마지막으로 대출 상품의 유형이나 대출 기간도 금리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주택담보대출과 같은 경우에는

    코픽스라는 은행들의 자금조달비용 금리를 토대로

    이에 가산금리 등을 더하여 이에 따라서 산출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출이라는게 기본적으로 기준금리+가산금리로 정해지는데 기준금리는 변동금리로 하느냐와 고정금리로 하느냐에 따라 금리가 틀려집니다 가산금리는 개인의 신용점수와 은행의 비용과 수익이 가산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 은행마다 대출금리가 틀리고 개인마다 틀릴수밖에 없을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대출금리를 산정하는 기준은 대출상품별로 상이하지만 주담대를 예로들면 코픽스 금리를 기준으로하고

      거기에 신용점수와 담보물건에 맞는 가산금리를 더하여 결정합니다

    • 즉 신용점수가 높고 담보가 튼튼할수록 대출금리는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출 금리는 3가지로 1) 기준금리, 2) 가산금리, 3) 가감조정금리·전결금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산정됩니다. 

    코픽스, CD금리, 금융채 금리 등 한국은행 등에서 공식 발표되는 금리와 리스크 프리미엄, 유동성 프리미엄, 신용 프리미엄, 자본비용, 업무원가, 법적비용 등의 ‘원가’와 ‘목표이익률(마진)’로 구성된 가산금리, 개인의 신용에 따른 우대금리가 종합해서 계산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출금리를 산정하는 기준은 담보의 종류, 본인의 신용등급, 대출의 만기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의 경우에는 만기가 10년이상으로 장기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정금리 대출은 없으며, 변동금리 또는 혼합금리가 적용됩니다. 또한 담보가 제공되어 신용위험 비용이 없어 금리 수준도 낮게 산출됩니다.

    반대로,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인 경우 장기로 취급되는 경우는 없으며 길어도 5년이내 단기 대출이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대부분 고정금리 또는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또한 신용위험비용의 비중이 높아, 본인의 신용등급에 따라 금리 수준이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