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그리운불독264
그리운불독26421.07.31

처방받은 약에도 유통기한이 있나요?

병원검진 ,치료후 처방받는 약에대해서 몇개월 혹은 몇년이 지난후에도 약을복용해도 괜찮은걸까요? 동네 병원처럼 몇일이나 몇주 처방약이아닌 대형병원에서 처방받은 몇개월에서 몇년까지의 처방받은 약들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통상적으로 자주쓰는 약들은 유효기간이 많이 남은것들을 조제에 사용하지만 처방받은지 오래된약은 보관과정에서 오염되거나 변질 되었을수 있으니 폐기하세요. 약은 오래 되면 약효가 떨어질수 있어요. 약마다 유효기간이 달라서 일괄적으로 언제까지 괜찮다라고 말하기가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병원에서 처방으로 받은 약들중에 약봉투로 조제를해서 받은 약들은 최대6개월까지 보관가능합니다.

    약을 완제품으로 PTP로 받으신 경우에는 제품에 적혀있는 유효기간까지는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약의 경우 약 원통 그대로 받은 경우 개봉시점으로부터 1년 이내 이며 PTP와 같이 낱개포장으로 경우 포장재 겉면에 표시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합니다.

    알약이 개봉되어 조제된 상태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습기와 빛에 노출되어 약효저하 및 변질이 일어날 수 있기에 조제일로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물약의 경우는 팩포장의 개봉되지 않은 제품은 제품 포장지에 기재된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하며 약국에서 덜어서 받아온 개봉된 제품은 처방일로 부터 한달 유효합니다.

    냉장보관을 한다고 하여 유효기간이 연장되는 것은 아니기에 1년이 경과한 약물은 복용하지 마시고 폐기하시기 권장드립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은 약물의 반감기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고 변질의 우려가 있기에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버리시는 게 맞습니다.

    1. 알약 통을 원통으로 받았을 시

    (개봉 시점부터 1년이내)

    2. 알약 원통을 다른약통에 수량만큼 덜어서 담아준 알약의 경우

    (6개월 이내)

    3. 원래 포장이 PTP, 블리스타 낱개 포장인 경우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

    4. 원래의 시럽제(물약)을 원통 그대로 받으신 경우

    (개봉후 28일 이내)

    5. 한가지 시럽제를 작은 투약병에 용량을 맞춰 덜어서 조제해준경우

    (14~28일 이내)

    6. 투약병에 두가지 이상의 시럽제를 혼합해서 조제해 준 경우

    (14일 이내)

    7. 건조시럽제(가루형태, 주로 항생제)를 물에 타서 물약을 만든경우

    (14일 이내)

    (하지만 항생제마다 물을 타고나서부터 유효기간이 줄어드는데, 종류마다 다르다 7일인 것도 있음)

    (오구멘틴시럽은 냉장보관으로 7일까지, 포리부틴드라이시럽은 상온에서 15일까지)

    8. 알약을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60일 이내)

    9. 원래의 튜브형 용기에 담겨진 연고류를 그대로 받으면

    (6개월 이내, 뚜껑 잘닫아야함)

    10. 연고류를 조제용 연고곽에 덜어서 담아준 경우

    (30일 이내)

    11.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30일이내, but 가루약 종류에 따라 훨씬 짧아질 수 도 있다)

    12. 멸균제품인 안약, 안연고

    (개봉 후 28일 이내, 보존제 함유한 멸균제품에 해당함)

    13. 1회용 사용안약은 보존제가 없으므로 사용후 바로 폐기

    14. IV(정맥주사), 주사제, bag 은 개봉후 1시간 내에 투여해야한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약포지에 들어있는 약은 보통 3-6개월 사용가능합니다.

    2. 까서 먹는 알약의 경우 보통 1-2년 사용가능합니다.

    3. 연고는 개봉 후 3개월, 안약은 개봉 후 1개월 사용가능합니다.

    -몇개월 지나지 않았으면 다시 복용해도 되나 몇년 지났으면 약의 성분이 변질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면 낱알형태로 모아 근처 큰약국에 방문하여 폐기요청하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관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되도록 약은 건조하고 서늘한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곳에 보관하셔야 합니다.

    대략적인 제형에 따른 유효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보관환경에 따라 변질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알약 3개월~6개월

    가루약 1개월

    일반 물약 1개월

    항생제시럽 1-2주

    안약이나 안연고 1개월

    일반 연고(개봉기준) 6개월

    나잘스프레이 2-6개월


    유효기간이 지난 약은 폐기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폐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해당 약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90% 될때의 시점을 말하며 이후에는 유효성분 함량을

    보장해주지 못할 뿐 아니라 변질되었을 경우에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그때는 보건소나 근처 약국에 가셔서

    약이나 영양제를 폐의약품함에 넣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건강을 위해 약과 영양제를 먹는 만큼

    새롭게 본인에게 맞는 것을 찾아 구입하시는 게 현명하십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 의약품의 경우 '사용기한' 으로 표현하시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기한은 최초 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90% 이상의 효능이 보장되는 기간으로 설정합니다.

    물과 함께 삼켜 복용하시는 경구제의 경우

    한 포씩 뜯어 복용하도록 비닐 포장 등으로 별도의 재포장 과정 없이

    원통 그대로 받으신 경우 용기에 기재된 사용기한까지 복용이 가능하며,

    재포장 과정을 거친 경우 6-12개월 정도를 사용기한으로 볼 수 있으나,

    무덥고 습한 여름 날씨를 거쳐가므로 3-6개월 정도로 타이트하게 사용기한을 잡아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병원 약사회 자료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사용기한을 이미 지나버린 경우

    유효성분의 변화로 약효 측면에서도 충분한 효과가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부산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국에서 처방전의 약을 조제할 때는 유효기간이 넉넉한 약들로 조제해드립니다.

    대략 1년정도는 보관하고 복용하실 수 있지만, 이는 보관조건이 적절한 상황에서나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환자분들께 드린 처방약은 약 6개월정도 보관가능하다고 말씀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배주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받으신 케이스마다, 어떤약이냐에 따라 약간 달라질수는 있습니다.

    단순히 알약이라고 했을때 권장되는 기간은

    1. 원통 그대로 받은 경우 - 개봉 후 1년 이내

    2. 다른 약통에 덜어서 담아준 경우 - 6개월 이내

    3. PTP, 플리스터 낱개 포장인 경우 - 포장지의 유효기간까지 (일부 특수약품은 제외)

    4. 약포지에 조제해 준 경우 - 60일 이내

    가루약, 시럽, 연고류등 제형이 다른 약의 경우는

    또 다를수있으니 참고해주시고,

    약국에서 구매하시는 제품들은 제품에 유효기간이 표시가 되어있으니,

    표시된 유효기간 내에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약도 유통기한이 존재하며, 보통 처방한 날로부터 약을 다 드시는 날까지가 유통기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추가로 약의 종류나 제형마다 유통기한이 다르기 때문에 약국이나 병원에 문의해보셔야 합니다.
    소아용으로 보통 가루나 시럽제제로 되어 있는 경우 유통기한이 더 짧습니다.
    추후에 비슷한 증상이 있으시더라도, 다른 질환일 수도 있기 때문에 다시 처방을 받아 드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전인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조제하여 받으신 약에 대한 유통기한으로 고민이시군요. 조제하여 포장한 약의 경우 그 유통기한을 2-3개월 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효능이나 안정성을 고려하여 해당기간이 지난 약의 경우 보건소나 약국으로 폐의약품으로 처리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상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아래 도움이 될만한 글을 첨부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m.blog.naver.com/dlsqo9196/222263323647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통 처방하여 조제한 약들은 유효기한이 2-3년이 남은 약들을 사용하긴 합니다.

    하지만 한번 통을 뜯어 공기에 노출되고 조제를 하게 되면 유효기한은 알약의 경우는 6개월 정도

    가루약의 경우는 3개월, 시럽제나 안약등의 경우는 1개월 유효기한으로 보시는게 맞습니다.

    그 이상 된 약들은 버리고 새로 처방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성모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에따라 다르고 처방받은약에 대해 유통기한을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통상적으로 약을 원병 그대로 처방받으셨다면 보관조건이 양호하다는 가정하에 유통기한까지는 드셔도 됩니다.

    다만 소분해서 처방받은 약들(약포지에 포장되어 있는 약들)에 대해서는 명확하기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몇개월, 몇년치의 처방이라면 약국에서 그 기간까지 유통기한이 충분한 약으로 조제를 하기 때문에 처방받은 기간까지는 드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