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몸부림이 심한데 분리수면해야할까요??
이제 만9개월 된 아기를 키우고있습니다
요즘들어 아기가 몸부림이 심한데
분리수면을 해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그대로 같이자도되나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엄마와 아이가 함게 편하게 잘려면 분리 수면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자주 몸부림을 치면 엄마도 신경이 써여서 잠을 푹 못잡니다.아이 또한 부모님의손길이 느껴지곤하면 다시 깨기도 합니다.막수를 하고 아이가 잠들때까지 기다렸다가 부모님 방으로 가서 편하게 주무시기바랍니다.아이가 깨거나 울면 그때 다시 가서 재우고 아이의 방에서 나옵니다.이렇게 규칙적으로 하시면 아이도 분리수면에 적응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몸부림이 심하다고 분리수면하게 되면 아이는 더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힘들더라도 아기 때는 같이 자주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아이가 0세일 때는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분리수면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몸부림이 심한 경우 아이 옆에 배게를 놔두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그냥 옆에 자면 너무 몸부림이 많아 잠을 자기 힘들거 같습니다. 저희는 아직 분리수면을 못했는데 긴 쿠션 3개로 아이 쪽을 막아놓고 그옆에서 자고 있는데 어지간하면 그 쿠션을 넘어오는 일은 잘 없는 것 같습니다. 분리수면을 하려면 어릴때 부터 하지 않으면 분리하기 어려운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의 자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참 신기합니다. - 발로 차기도 하고 올알이를 하기도하고 표정도 가지가지고... 참 귀업습니다. - 아이들이 재미있고 신나는 꿈을 꾸는 것처럼요. - 이런 아이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분리수면을 고민하시는 것이라면 큰 걱정 하지 않으셔도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 다만, 아이들이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다가 부모님 얼굴을 발로 찬다거나 침대 밑으로 굴러 떨어질 수 있으니 넓은 공간을 확보해주시거나 아이침대를 옆에 두시는 것은 좋을 것 같습니다. - 분리수면을 고려한다고 방을 따로 사용하시거나 하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아직 어린 아이들은 자다가 깨는 경우도 있어서 놀랄수 있으니 같은 공간안에서 잠자리 공간을 확보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9개월 아이가 이리 뒹굴 저리 뒹굴 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 입니다. - 9개월 이때의 아이들은 그야말로 엄청난 속도로 발달을 합니다. - 자면서 뒹굴뒹굴 하는 것은 아이의 특성이기에 지극히 정상적인 행동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얌전히 재울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지 않지만 자기 전에 편안한 분위기에서 아이 스스로 잠들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몸부림이 너무 심하고 수면의 질이 너무 떨어진다면 - 가능하면 분리수면을 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분리수면을 한다 하더라도 아이가 잠을 자는 것을 지켜봐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질식사등 여러모의 이유로요. - 분리수면이 필요하면 아이가 더 크기 전에 시도 해 보시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만 9개월 된 아기가 몸부림을 많이 한다면, - 그것이 단순히 활동적인 행동이라면 분리 수면을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 그러나 그것이 아이가 편안하지 않은 신호일 수도 있으므로 이유를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가 몸부림을 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가 고파서 불편한 경우, 기저귀를 바꿔달라는 신호를 보내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몸부림을 하는 이유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대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잠을 깨는 횟수가 너무 늘어나거나 길게 자지 못한다면 분리수면을 고려해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몸부림이 심하고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분리수면 - 시기를 조금 더 늦게 가져보는 것을 권합니다. 너무 이른시기 분리수면을 하게되면 - 아이가 불안감을 느껴 정서에 불안증세를 보일수 있고 위험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지금은 같이 자는게 좋을것 같아요 - 9개월 밖에 안되서 너무 이른 분리수면이 - 아이가 더 불안감이 커질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분리수면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이 상반되고 있는데요. - 제 생각은 만9개월이면 분리수면이 조금 빠른듯합니다. - 부모의 심장소리와 숨소리를 들으며 자라는 아이는 정서적으로 안정감이 있다고 보거든요. - 교과서적인 너무 이른 분리수면은 아이들으 정서발달에 안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봅니다. - 분리수면 할 연령이 되었을때 아이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해요. 그후 해도 늦지 않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만 9개월이라면 지금부터 - 분리수면을 하기에는 아직 이른 것 같습니다. - 일단은 아이가 칭얼거리고 몸부림을 부릴 때에는 - 등을 두드려 주는 방법으로 안정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이 몸부림이 심한건, 성장통에서 오는 통증 때문에 몸부림이 심하거나, - 낮 동안에 스트레스가 쌓여서 그런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 분리수면은 무엇보다 아이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합니다. - 부모의 강요에 의해 분리수면을 하게되면 아이의 정서에 좋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일반적으로 6개월 이후에는 분리불안이 심해져 이전에 분리수면을 하지 않았다면 - 2~3세경에 다시 분리수면을 시도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 아이들의 몸부림은 성장과정중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부모님 침대 밑에 벙커침대 두시고 - 함께 자다가 아이가 잠들면 쿠션과 이불등을 이용해 뒤척이다 부딪혀 깨지 않도록 대비해주시고 - 자다깨서 울거나 부모님을 찾아도 바로 안아주기 보다는 누워서 달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