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3.12.14

각나라에는 시차가 존재하는데 어떠한 원리로 시차를 계속하나요?

나라마다 같은 시간에 다른 시간이 존재하는데 어떠한 기준을 두고 어떠한 원리로 시간을 계산하는 것인가요? 이시차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을 계산하는 기준과 원리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하루에 한 바퀴를 돌기 때문에 하루의 시간을 24시간으로 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시차는 각 나라의 위치와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라서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미국은 지구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시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미국은 한국보다 서쪽에 있기 때문에 한국보다 일찍 해가 뜨고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시차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느끼는 것과 같은 원리로 발생합니다.

    각 나라에서는 이러한 시차를 계산하기 위해 세계 표준시를 사용합니다. 세계 표준시는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의 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세계 각 지역에서 이 시간을 기준으로 시차를 계산합니다.

    시차는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이며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도 쉽게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차를 계산하는 원리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세계 표준시를 사용하여 각 나라에서 동일한 시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계 각국에서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하는 것은 지구가 회전하면서 태양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약 24시간 동안 자전하며, 이 때문에 지구의 서로 다른 지역이 태양을 향해 있거나 그 반대인 상태가 됩니다. 이로 인해 세계는 24개의 주 시간대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시간대는 그리니치 평균시(GMT)를 기준으로 한 시간 간격을 가집니다.

    시간대의 개념은 19세기 후반에 발달한 철도 및 통신 기술 덕분에 널리 퍼졌습니다. 그 이전에는 각 지역이 자체적인 태양 시를 사용했으나, 이는 교통 및 통신에서 혼란을 초래했습니다. 1884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서 현대적인 시간대 체계가 제안되었고, 이후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이 체계를 채택했습니다.

    시간대는 기본적으로 지구를 동서로 15도씩 나눈 24개의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각 구역은 GMT로부터의 시간 차이로 정의되며, 이는 지구가 24시간에 360도를 회전한다는 점에 기반합니다(360도 / 24시간 = 15도/시간). 하지만 실제로는 정치적, 역사적, 경제적 이유로 인해 많은 국가들이 이 경계선을 따르지 않습니다. 일부 국가들은 여러 시간대를 사용하기도 하고, 일광 절약 시간제를 도입하여 계절에 따라 시간을 조정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크기에 의해 모든지역의 해뜨는 시간이 다른데요.

    즉 경도에 따라 시간차를 두어 시간이 다르죠.

    그래서 시차가 존재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