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갸름한미어캣256
갸름한미어캣25624.04.15

백의 고혈압(긴장성 고혈압)증상이 심한 사람이 심장박동이 너무 빠른 상태에서 ct 촬영을 위해 조영제를 맞게 되면 위험할까요..?

나이
29
성별
남성
기저질환
불안장애, 자율신경실조증

안녕하세요 불안장애가 있고 자율신경실조증이 심한 상태여서 평소에도 교감신경이 너무 항진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예전에 다른 병원에서 다른 것을 검사하다가 우연히 심장박동이 너무 빨라 제 나이에 이럴 수 없어 너무 이상하다고 바로 심장검사를 진행했었는데 이상이 없고 고혈압은 아니고 평소에 불안장애와 당시 극도의 긴장으로 인해 심장이 너무 빨리 뛴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ct 촬영을 위해 조영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역시 심하게 긴장되어 저번보다 더 심하게 심장이 뛸 것입니다...

혹시 저처럼 심장박동이 순간 비정상적으로 너무 빠른 상태에서 조영제를 맞게 되면 심정지나 발작, 실신의 위험이 있을까요...? 아니면 조영제 사용은 이렇게 불안이 심하고 심장이 빨리 뛰는 상황이어도 문제는 없을까요?

신장기능도 정상 범위이긴 하지만 나이에 비해 많이 좋지 못하다고 하셔서 피검사도 다시 진행한 상태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그다지 크게 상관이 있지는 않습니다

    말 그대로 불안하시면 진정제를 주사하면 되는 문제이니까요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불안장애나 자율신경실조증으로 인해 심장박동수가 증가한 상태에서 조영제 CT 촬영을 하는 것은 대개 안전합니다. 단순히 불안감으로 인한 심계항진(빠른 심장박동)이 있다고 해서 조영제 부작용 위험성이 크게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매우 높은 심박수(분당 150회 이상)나 불규칙한 심장리듬,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런 경우 조영제 사용 전에 심전도 검사 등을 통해 심장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하다면 진정제 투여 등의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장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조영제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신장 기능에 따라 조영제 용량을 조절하거나 다른 검사 방법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검사 전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여 조영제 사용의 위험-이득을 평가하고, 검사 중 불편감이 있으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검사 중 심전도 모니터링 등을 시행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불안감 완화를 위해 검사 전 심호흡, 이완요법 등을 활용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검사에 대한 우려가 크시다면 의료진과 솔직하게 상담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백의 고혈압이 있는 사람이 증상이 있는 상태라고 하여서 조영제를 투여하는 것이 위험하다는 구체적인 근거는 따로 있지 않습니다. 조영제는 신장을 손상시키는 것을 우려하여야 하는 것이지 백의 고혈압 수준의 혈압 및 맥박 증가 때문에 문제가 될 가능성은 낮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