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2.12.22

아이가 갖고싶은 장난감에 너무 쉽게 실증을 느껴요

무언가 장난감에 꽂히면 손에 들어올때까지 떼부리고 울고 하다가 막상 갖고나면 금방 시들해려버립니다 매번 실랑이를 하게되는데 어떻게 교육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집중력은 생각 외로 굉장히 짧습니다.

    한 가지 장난감만을 계속해서 노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에

    잠깐 놀고 다시 새로운 걸 찾는 아이들도 많답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원할 때마다 계획에 없던 물건을 흔쾌히 사주는 것은 분명 아이에게 좋은 일일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아이에게 '참는능력'을 떨어뜨리는 행동이 될 수 있어요

    아이에게 장난감 사주는 날을 정해 보십시요

    이를테면, 성탄절이나 어린이날, 생일등 특별한 날에 장난감을 사주는 날로 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렇게 울고불고 한다고 해도

    다 들어주지 마시고

    아이와 장난감을 얻게 되는 상황을

    약속해서

    착한일을 하거나 생일 크리스마스 같은 특별한 날에만

    주도록 일관되게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일종의 떼를 쓰는 것이라 다름이 없습니다. 아이가 장난감이 원하는 대로 다 갖게 된다면 자신의 마음대로 모든 걸 다 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지게 됩니다. 이는 있는 올바른 생각을 가진 사회 구성원으로 자라나는데 문제를 불러일으키는데요. 절제를 배울 수 있어야 합니다. 선물이라는것은 선물을 받아야만 할 때 받는 것임을 반드시 인지시켜 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다른 아이들도 장난감에 쉽게 실증을 냅니다.

    가지고 있는 장난감을 한번에 다 꺼내주지 마시고 돌려가면서 꺼내주세요.

    가지고 놀았던 장난감도 다시 흥미를 보일거에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2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더라도 노는 장소나 주변 환경을 바꾸어서 노는 것은 아이의 싫증을 덜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그러면 아이의 싫증이 덜 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자동차라고 해도 방안에서 가지고 놀 때는 방안에서 아이가 놀 수 있는 범위를 맴돌게 되지만, 자동차를 갖고 밖으로 나가 모래 놀이를 하게 된다면 좀 더 넓은 공간을 달릴 수 있게 되고, 아이가 놀이하면서 상상하는 주제나 범위도 달라지게 됩니다. 아이의 머리 속 상상이 달라진다는 것은 아이가 같은 장난감을 갖고 논다고 하더라도 전혀 다른 경험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아이가 오래동안 가지고 놀지 않는다면

    장난감을 사주는 횟수 등을 조절하시고 아이가 원하는대로 사달라고 하여도

    사주시면 안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장난감에 금방 실증내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그렇다고 아이에게 새로운 장난감을 계속 사줄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고요.

    이럴때 좋은 방법으로는 장난감 렌트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장난감을 일정시기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