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슐리만의 트로이 발굴은 왜 비판받았나요?
하인리히 슐리만이라는 학자가 과거 트로이와 관련되어서 발굴을 했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이 트로이발굴에 대해서 어떤 비판을 받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하인리히 슐리만의 트로이 발굴은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성과였지만, 동시에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많은 비판도 받았습니다.
먼저, 슐리만은 고고학적인 절차와 과학적인 발굴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채 발굴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트로이 유적지를 발굴할 때, 자신이 찾고자 했던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트로이 전쟁의 도시를 찾기 위해 서두르는 경향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상층부에 있던 후기 유적층을 제대로 기록하거나 보존하지 않고 무너뜨렸습니다.
이로 인해 트로이 유적의 연속성과 고고학적 맥락이 훼손되었고, 중요한 유물과 정보들이 영구적으로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둘째, 슐리만은 자신의 발굴 결과를 과장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그는 "프리아모스의 보물"이라 불리는 금은보화 유물을 발견한 후, 그것이 트로이 전쟁 당시 트로이 왕 프리아모스의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해당 유물은 실제 트로이 전쟁 시기보다 수백 년 이전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슐리만이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실을 과장했다는 비판을 받는 주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셋째, 그는 발굴 과정에서 현지 노동자와 학자들을 무시하거나, 자신의 업적을 과도하게 개인적인 영광으로만 활용했다는 점에서도 비판을 받았습니다. 특히 트로이 유물을 무단으로 반출해 독일로 가져간 행위는 문화재 약탈이라는 국제적인 비판도 불러왔습니다.
결론적으로, 하인리히 슐리만의 트로이 발굴은 전설 속 도시가 실재했을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기하며 역사학과 고고학에 큰 자극을 준 공로는 인정받지만, 과학적 고고학의 원칙을 무시하고 유물을 훼손하거나 왜곡한 점, 그리고 문화재를 자의적으로 다룬 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