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이유로 배고픈 시절을 보릿고개로 표현했나요?
70년대만해도 춘궁기가 되면 식량이 떨어져 배를 곯는 경우가 다반사였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배고픈 시절을 무슨 이유로 보릿고개라고 표현했나요?
안녕하세요. 정겨운다람쥐46입니다.
가을에 수확한 쌀이 다음해 봄철에는 쌀이 다 거덜나는데
5월에는 보리마저도 여물지 않아서 보리도 쌀도 부족해서 굶는 소작농분들이 많았고
이를 보릿고개라고 불렀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뷰징 신고 완료입니다.
예전에는 추수를해도 식량을 많이 얻을수없어 보리가 수확되는 5~6월까지 버텨야하는데 그때의 기간을 보릿고개라합니다
안녕하세요. 푸르스름한청가뢰166입니다. 추수를하고나서 겨울을지내고 그 이후에 보리를 수확하기 전까지 봄에 배가고픈시절이 있는데 이 고비를 넘기 힘들더하여 보릿고개라했었죠
안녕하세요. 섬세한말라카크95입니다.
보릿고개는 과거에 보리 수확기인 5월부터 가을 수확기인 10월까지 식량이 부족하여 배고픔을 겪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봄에 보리를 수확하고 가을에 쌀을 수확하는 농업 방식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근면한호박벌182입니다.
그야말로 춘궁기입니다.보리수확할때까지의 보리 쌀로 배를 채울 밥을 지어 먹을수있는 기간을 넘 어가는 거기까지 긴 겨울의 배고품을 견디는 춘궁기를 보릿고개라합니다.
안녕하세요. 청초한동박새13입니다.
추수한 곡식이 다 떨어지고 햇보리를 수확하기전의 5~6월까지를 보릿고개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부른거미114입니다.
가을에 수확한 곡식을 겨우내 먹으면 봄철이 되었을 때 식량이 바닥을 드러내게 됩니다.
이때 보리를 수확할 때 까지는 아껴먹으며 견뎌야 하는데 힘든 보리고개(상징적 표현)를 넘어가지 못하고 굶어 죽는 사람도 있었습니다.그래서 한많은? 보리고개라고 표현을 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강력한여새275입니다.
보릿고개는 식량이 떨어진 시기를 의미합니다. 쌀농사와 보리농사를 했습니다. 겨울에 파종해 5.6월 보리를 수확하기전 굶주림의 표현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수리무입니다.
보릿고개는 겨울에 먹을 것이 떨어진 후 봄에 보리가 나올때 까지를 말합니다.
보리가 나오면 굶주림이 해결되지요.
안녕하세요. 정직한말똥구리65입니다.
식량 수확은 매달하는 것이 아닌 일년에 한번 하게되는게 5월~6월 7월까지는 수확기라 이전에
수확해둔 식량으로 아껴 생활해야 했습니다.
힘든 시기를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