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고귀한비버259
고귀한비버25921.06.01

얀센 백신이 여성에게 부작용이 더 많이 나타난다던데..

제 처가 얀센 백신 대상자인데..

얀센 백신이 여성에게 부작이 더 많이 나타난다면서 걱정하네요..

그리고 백신으로 인한 항체가 6개월 밖에 안간다던데.. 그게 무슨 말일까요?

항체는 몸에 만들어지면 계속 있는게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백신 접종후에 발열 두통 오한 증상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 경우 이부프로펜 성분의 NSAIDS 소염진통제의 경우 백신접종후 면역반응을 저해하여 항체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접종후 열감이나 두통 오한에는 아세트아미노펜성분의 해열 진통제를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이 외에 다를 부작용 발생시 접종과의 인과성 파악을 위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얀센 같은 mRNA 백신 같은 경우에는 우리몸에서 단백질을 생성하는 DNA 쪽에 도달하게 되어서

    계속해서 항원을 생성하게 됩니다.

    우리몸에서 기억반응으로 어느정도 계속 항체가 생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너무 걱정이 되면 향후에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얀센의 경우 화이자나 머크와 같이 세계 최고의 제약사중 하나입니다. 다만 화이자나 모더나보다 부작용 발생 빈도가 약간 높습니다.

    -얀센이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부작용 보고 빈도는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백신을 접종하면 항체가 보통 6개월 정도 상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향후 조금씩 감소합니다. 항체가 사라진다고 해서 완전히 백신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바이러스가 다시 침입하면 급속도로 다시 항체를 만들어내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변이되어 감염된 경우 기존의 백신의 효과는 없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 관련하여 문의주셨습니다.
    이제 막 개발 된 백신이며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효과가 얼마나 될지, 어떤 부작용이 나올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변종 코로나에 대한 추가적인 접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당단백질 백신이 아닌 mRNA 백신의 경우 기존에 우리가 맞던 독감과 같은 예방접종과 다르기 때문에 그 부작용이나 효과를 예측하기가 더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펜데믹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접종 하는 것을 권합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어도 상당기간 마스크 착용과 손씻는 것과 같은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셔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아래 자료는 임상실험이후 나타난 각 백신별 부작용입니다. 참고하시고 경한 부작용이 있다면 타이레놀을 복용하시고, 증상이 심하시다면 접종하신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아스트로제네카
    -접종 부위 통증(84.1%)
    -피로감(62.9%)
    -두통(55.1%)
    -근육통(38.3%)
    -오한(31.9%)
    -관절통(23.6%)
    -발열(14.2%)
    -접종 부위 부기(10.5%)
    -접종 부위 발적(9.5%)
    -오심(1.1%)
    -권태감(0.5%)
    -임파선염(0.3%)

    ** 얀센
    -접종 부위 통증(92.0%)
    -피로감(70.0%)
    -두통(64.7%)
    -근육통(61.5%)
    -관절통(46.4%)
    -오한(45.4%)
    -오심/구토(23.0%)
    - 겨드랑이 부기 및 압통(19.8%)
    -발열(15.5%)
    -접종 부위 부종(14.7%)
    -접종 부위 홍반(10.0%)

    ** 화이자
    -접종 부위 압통(>60%)
    -접종 부위 통증, 두통, 피로감(>50%)
    -근육통, 권태감(>40%)
    -발열, 오한(>30%)
    -관절통, 오심(>20%)
    ​참고) 1차 접종과 비교하여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은 발생 빈도가 적고 더 경증으로 알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