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찐찐이들맘
찐찐이들맘

미국 기준금리 50bp 기준금리 인하의 이유는?

깜빡이는 켰는데 차선을 하나 이동한 것이 아니라 2개를 한꺼번에 이동함으로써 다음번에는 좀 더 여유있게 이동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일단 이동을 남은 3번 회의동안 100bp는 낮춘다고 점도표가 나왔는데 이 근거는 경기침체 우려가 높다고 보는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이 이번에 50bp(0.5%) 금리 인하를 단행한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크게 안정되었지만 고용 시장이 둔화되고 있어 이를 방어하려는 조치입니다.

    연준은 물가가 안정되었음을 확인하고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렸습니다. 추가로 올해 두 번 더 25bp씩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고 고용 악화가 심각해질 경우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50bp 기준금리 인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이유는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와 고용시장 둔화 신호입니다.

    연준이 한 번에 50bp라는 비교적 큰 폭의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은 경제 상황이 예상보다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연준의 이번 금리 인하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하나는 인플레이션 완화를 계속 유지하면서도 고용시장을 보호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경제가 지나치게 둔화하지 않도록 방지하려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준은 금리를 한 번에 큰 폭으로 인하해 경제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향후 금리 인하를 천천히 진행할 수 있는 여지를 확보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남은 3번의 회의 동안 100bp를 더 인하할 수 있다는 점도표는 연준이 경기 침체 가능성을 매우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서 금리인하를 반대하는 의견들이 있었는데, 그보다는 고용 창출 및 유동성 공급이 더 시급하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생각합니다.

    이는 시기를 놓치면 고용 시장 악화를 비롯해 경기침체가 있다 판단한 부분도 있겠구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기준 금리 50BP 인하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미국 경기 침체가 심화되었다는 것의 반증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은 인플레이션의 문제보다 경기 침체의 문제를 더 심각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발표한 것과 같습니다.

    이어서 2025년 1.0% 금리 인하와, 2026년 0.5%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확실히 금리 인하를 통하여 경기 둔화에서 회복으로 변환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업의 투자 활동과 소비의 진작을 위해서 빅컷을 단행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라기 보다 물가와 고용에 대한 자신감이 넘치네요 그러니 빠르게 중립금리로 가겠다는 의지표현 같습니다 미국 장기 중립금리가 2.875 네요 현 경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금 기준금리가 높으니 빨리 원상복귀하겠다는거라 생각합니다

    늦은 밤 고생이 많으시네요 부디 대응 잘 하셔서 대박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 발표는 미국 노동 시장 침체를 막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빅컷(0.5%p)을 단행한 것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