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비빙
비비빙23.03.01

조선시대 장영실의 업적이 궁금합니다

조선시대의 발명왕 장영실의 업적이 궁금합니다 대표적으로 어떤걸 만들었는지 지금까지도 쓰이는 발명품이 있는지 몇개나 개발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의발명품>


    1432년 간의 (천문관측기구)

    1433년 혼천의 (천문관측기구)

    1434년 자격루 (물시계) ,

    갑인자 (동활자), 앙부일구 (해시계)

    1437년 현주·천평·정남일구 (해시계), 규표 (해그림자 측정기),

    일성정시의 (낮, 밤 시간측정기)

    1438년 옥루 (천상 자동물시계)

    1441년 수표 (하천수위 측량기구)

    1442년 측우기 (강우량 측정기)

    -출처: 장영실과학관



  • 안녕하세요. 장영실은 조선 세종 때 노비 신분을 벗고 발탁되어 혼천의와 자격루를 발명한 조선의 과학기술자. 본관은 아산. 세종 5년 노비 신분을 벗고 상의원별좌로 임명되어 1424년 중국의 체재를 참고해 물시계를 만들었다. 1433년 호군에 올랐으며, 혼천의를 완성했다. 이듬해 김빈과 함께 자동시보 물시계인 자격루를 만들어 1434년 7월 1일부터 표준시간이 자격루에 맞춰 운용됐다. 이후 앙부일구, 일성정시, 측우기 등을 완성했다. 상호군으로까지 특진했으나 1442년 제작한 왕의 가마가 부서지는 바람에 투옥, 파면 당했습니다. 지금 까지도 쓰이기 보다는 널리 알려지고 활용된 발명품은 아래 정도일 거라고 판단됩니다.

    ▶측우기

    측우기는 길이를 재는 자인 주척(周尺)으로 안지름이 7인치(14.7㎝),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 밖에 세워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 있었습니다.

    ▶앙부일구

    해시계로 솥 모양의 그릇 안쪽에 24절기를 나타내는 눈금을 새기고, 북극을 가리키는 바늘을 꽂아, 이 바늘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눈금에 따라 시각을 알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조선 최초의 천문관측대인 간의대, 대간의, 소간의, 규표, 앙부일구, 일성정시의 ,천평일구, 정남일구, 현주일구, 갑인자 등 의 업적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조선시대 전기 세종 때의 과학자였습니다. 최초의 물시계인 보루각의 자격루를 만들었고, 세계 최초 우랑계인 측우기와 수표를 발명해 하천의 범람을 미리 알수 있게 했습니다. 태양의 고도와 출몰을 측정하는 규표, 휴대용 해시계 현주일구와 천평일구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조선 세종시대의 과학자로, 혼천의 자격루 등 여러가지 역사적 발명품을 만들었습니다.

    장영실 과학관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jyssm.co.kr/html/sub10.php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2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조선 세종시대 최고의 과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대 과학자 가운데 장영실만큼 이름이 회자되는 인물도 없습니다

    장영실은 업적으로는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 자격루를 한국 최초로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수원화성 건축때 썻던 도르래, 해시계 정도 생각이 듭니다. 그외에도 다양한 발명품을 만들었다고 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