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최종적 도덕단계, 연구의 대상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최종적 도덕단계가 동일한 것에 체크를 했는데 모든 사람이 최고의 도덕단게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고 하는데 도덕성 발달 수준은 개인마다 수준차가 있다고 본 것인가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남성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고 하는데 왜 여성을 연구의 대상에 배제하였는지 궁금합니다.
과거 심리발달은 남성중심의 사회로써 주로 남성을 기준으로 만들어진것이 많습니다
이러한것은 시대적 환경적인 흐름에 따라서다릀윘기에
도덕발달수준역시 이러한 것에 맞추어 다를수있겠습니다.
1명 평가콜버그의 연구는 주로 서구 사회의 개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따라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도덕적 사고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페미니스트 사상가인 캐롤 길리건은 콜버그의 도덕성발달 이론이 주로 남성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고 비판 하였는데요.
그 이유는 길리건에 따르면 여성은 관계와 연민을 중요시 하여 관계적 윤리를 더 중요하게 여길 수 있다 라는 이러한 이유로 콜버그의 이론이 성별 간의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지적 하였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도덕적 사고와 판단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틀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비판과 한계를 고려하여 자신 또는 아이의 발달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1명 평가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개인의 도덕적 판단력이 어떻게 발전하는지에 대한 이론으로, 그의 연구는 주로 남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콜버그는 개인의 도덕적 판단력이 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강조하며,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도덕적 판단력이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콜버그의 연구 결과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콜버그는 개인의 수준차이라고 보기보다는 도덕 사고 단계가 '인지 발달 수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또한 콜 버그는 남자아이들만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콜버그는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단계의 도덕성 발달수준에 머문다고 생각하여 성차별적 관점을 지닌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