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1.22

헌혈을 하면 정말로 건강에 안좋나요?

안녕하세요 요새 헌혈량이 부족하다고 하여 헌혈 주기 문자오는대로 하는중인데요, 주변에서 왜 자꾸 헌혈을 하냐며 .. 피를 만들면서 건강을 헤칠수도 있는데 자꾸 그러지 말라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아닌것 같긴한데 ㅠㅠ

그래도 계속 걱정이 되서 질문 남깁니다.

정말로 헌혈을 한다고 건강에 안좋거나 이런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상큼맘
    상큼맘21.01.23

    ✔헌혈을 자주하면 건강에 안좋을까요?

    요즘 코로나로 인해 혈액수급이 좋지 않는데 좋은 일에 동참하고 계시네요

    헌혈 자주하시면 당연 주위에서 걱정 하는 분도 계십니다.

    그러나, 헌혈도 아무나 하시는게 아니고

    조건이 맞아야 가능 하십니다.

    연령:16~69세

    혈압:수축기90~170

    이완기100미만

    체온:37.5이하

    맥박:50~100

    남자:50k이상

    여자:45k 이상

    금지약물 복용 불가

    예방접종 후 일정기간 경과 등 위 조건이 맞아야 헌혈도 가능합니다.

    자주 헌혈 하셨다면,

    1년 이내, 5회 미만 시행,

    지난 2개월 경과 되셔야 하구요.

    @헌혈 자주 할 시 건강에 좋지 않을까요?

    ->몸을 순환하고 있는 혈액은 전체 혈액량의 절반만이고 나머지 반은 혈관 밖 가 조직에 있습니다.

    헌혈 후 1~2시간 지나면 일상에 지장이 없게 혈액순환이 완벽하게 회복됩니다.

    또 한 헌혈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헌혈 횟수를 정해 놓고 있으니 걱정 없답니다.

    전혈 채혈로부터 2개월, 성분채혈로부터 2주 경과해야 헌혈도 할 수 있습니다.

    ->헌혈로 피가 빠져나가도 조직내에 보관돼 있던 혈액이 혈관내로 바로 이동하여 혈액량을 바로 보충해 줍니다.

    오히려, 건강하신분들의 정기적인 헌혈은 심혈관질환 예방이 된다합니다.

    *헌혈 후 주의사항만 잘 지키시면 됩니다

    1.헌혈 후 압박하고 5분 기다리기

    2. 헌혈 후 물 많이마시기

    헌혈시 수분도 함께 빠져나가니 충분한 수분 보충과 휴식을 하셔요.

    3. 혹 혈액 공포증이 있으신분들은 헌혈 하지 마셔요.

    요즘 발열,호흡기 증상 있을시 증상이 호전된 후 할 수 있습니다.

    한달 이내 해외방문 있으셔도 안됩니다.

    헌혈 조건이 되시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될것입니다~^^


  • 일단 알아두셔야 할 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헌혈을 할 경우 바늘이 들어가는 순간 혈관이 수축을 하게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이고 짧은 시간안에 원 상태로 복원이 됩니다.

    ​헌혈을 자주한다고 혈관이 얇아진다? 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우리 몸은 체중 1kg당 남자는 약 80ml정도 여자는 약 70ml정도 의 혈액이 있습니다.

    ​이 혈액은 매일 일정량 새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건장한 성인인 경우 320ml 혹은 400ml 정도의 헌혈은

    ​우리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700회 이상 넘게 헝혈하신 분도 계시고 100회 이상 헌혈하신 분들또한 엄청 많으습니다.

    ​몇백회 이상 하신분들도 계신걸 보면 건강에 큰 무리가 간다고 볼 수 없을것 같습니다.

    ​허나 아무 이상이 없다곤 말씀을 못드립니다.

    ​우선 헌혈 후 일시적인 현상으로 여러 요인이 존재할수있기에 평소 헌혈을 위해 건강관리를 하시는 분 도 계실 정도입니다.

    ​팔이 뻐근하다는 느낌이나, 몸이 무겁다는 느낌 등등 어지러움을 일시적으로 호소할 수 있고,

    ​현기증이나 두통, 추운듯한 느낌 및 근력감소를 느낄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약을 복용하거나 병에 걸려있거나 하면 헌혈이 제한되기때문에, 건강하지 못하면 헌혈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일 중요한것은 헌혈하는 당사자의 본인 상태 입니다.

    대신에 헌혈을 하면 본인의 건강 체크를 할 수 있으며,

    ​혈액검사, 혈액형검사, 간염검사, 매독검사, 간기능검사, 혈압검사 등 무료로 받을수 있고

    ​생명을 나눌수 있는 고귀한 뿌듯한 만족감과 내 몸에 새로운 혈액이 생성되어 더 건강해질수 있다는점,

    또한 헌혈을 위하여 건강관리를 하게 되므로 건강에도 무척 도움이 된다 볼 수 있습니다.

    ​내 몸에 새로운 혈액이 생성된다는것은 내 몸에 있던 안좋은 피 대신 새로 공급받는 것과 같은 것 입니다.

    저는 헌혈은 오히려 좋다고 생각합니다.


  • 헌혈을 둘러싼 대표적인 오해는 헌혈이 빈혈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헌혈을 통해 몸 밖으로 나가는 피는 최대 400㎖ 정도로 성인 기준 전체 혈액량의 7~10%이다. 몸 전체 혈액량의 15%는 비상시를 대비한 여유분으로 이보다 적은 양이 빠져나가는 것은 건강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누구든 헌혈 전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수치를 측정해 빈혈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빈혈이 있는 사람은 애초에 헌혈할 수 없지만, 헌혈한다고 빈혈에 걸리지는 않는다.


  • 우리 몸에 있는 혈액량은 남자의 경우 체중의 8% 여자는 7% 정도 입니다. 예를 들어 체중이 60kg 인 남자의 몸 속에는 약 4800ml의 혈액이 있고, 50kg인 여자는 3500ml 정도의 혈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 혈액량의 15%는 비상시를 대비해 여유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헌혈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건강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신체 내,외부의 변화에 대한 조절능력이 뛰어난 우리 몸은 헌혈 후 1~2일 정도면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도록 혈관 내외의 혈액순환이 완벽하게 회복됩니다.


  • 헌혈 참으로 좋은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별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건강에 이상이 있는 즉 다시말해 빈혈이 있다거나 암튼 몸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는 헌혈을 하지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헌혈을 통해 타인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내가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건강하다. 병원에서도 이상없다더라 그렇다면 계속하세요.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 헌혈시 배출되는 피의 양은 400ml 정도라고 들었는데 우리몸의 7~8퍼센트의 혈액배출은 건강상의 큰 이상이 없다니까 안심하세요.

    ​15퍼센트까지의 혈액배출은 우리몸이 그에 대한 대비 혈액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요.

    헌혈이 건강상 좋냐 안좋냐 이런 연구에 관한 논문이 아직 많지 않아서 의사들도 확답을 주기 어렵다고 합니다 . ​그러니 헌혈이 건강에 좋다 나쁘다는 아직 모른다고 하네요.

    그치만 헌혈은 건강한 사람만 할 수 있다고 하는데 헌혈을 하고 계시다면 건강하신거니까 너무 걱정은 하지마세요 !


  • 헌혈을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심장질환발병확률이 크게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헌혈을 한 사람이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헌혈을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86% 낮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헌혈을 통해 몸 속의 과다한 철분이 헌혈을 통해 몸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헌혈을 하게 되면 각종 원인에 의해 몸속에 쌓인 중금속을 비롯

    오염물질을 배출할수도 있기에 혈액을 더욱 깨끗하게 해준다고 합니다.

    가장 좋은 헌혈의 횟수는, 2개월 간격으로 1년에 5회미만이 적당합니다.


  • 헌혈하는것은 본인의 의지에 따라서 하는거 잖아요 남들이 그런다고 해서 다 그런게 아닙니다. 피도 한번씩 빼주면 다시 공급 되니깐 건강에 해 될것은 없습니다. 저도 2개월에 한번씩 해봤는데 이상되는것은 없었습니다. 현혈후 주의사항이나 그런것만 잘 지키시면 딱히 해될것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피를 뽑으면 어지럽고 현기증이 나기 때문에 몸에 건강이 나빠진다고 생각 하시는거 같은데 이상 없습니다. 만약 이상이 있다 하면 그쪽 헌혈에서 잘못한거 아닌 이상 있을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