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2.18

사람이 물에 뜨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사람이 물속에 가만히 숨을 참고 있으면 떠오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렇게 사람이 물에 뜨는 원리는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숨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바로 비중 때문입니다. 사람의 몸은 약 70%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물질에 의해서 물보다는 비중이 작게 됩니다. 이에 따라 비중이 작은 물질이 높은 물질보다 위로 뜨게 되는 것 이죠.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신체의 70%가 물이고 나머지 30%가 물보다 가벼운 것이고 폐에도 공기가 들어가 있어 물에 뜹니다. 사람의 비중은 0.96 정도로 물보다는 가볍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뜨는 원리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는 "물에 잠긴 물체는 상위로 받는 부력의 크기가 자신의 무게와 같다"는 원리입니다.

    부력은 액체나 기체에 물린 물체에 발생하는 상향력으로, 물체가 액체나 기체에 밀려서 떠오르는 힘입니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따라, 물체가 액체(물)에 담기면, 물체와 액체 사이에 밀림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밀림력이 부력이 됩니다.

    만약 물체의 밀도가 액체(물)의 밀도보다 낮다면, 물체는 액체에 뜨게 됩니다. 왜냐하면 물체의 부피에 대응하는 액체의 무게보다 약간 작은 부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물체는 액체의 표면 위에 떠오르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물체의 밀도가 액체의 밀도보다 높다면, 물체는 액체에 가라앉게 됩니다. 왜냐하면 물체의 부피에 대응하는 액체의 무게보다 큰 부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형 과학전문가 입니다.

    부력의 원리이지요 유체에 잠긴 특정 대상의 상/하면에 작용하는 중력 방향의 압력 차이만큼 대상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원리는 부력 때문입니다. 부력이란 유체에 잠긴 물체가 받는 위로 향하는 힘을 말합니다. 이 힘은 물체가 잠긴 유체의 부피와 밀도에 비례합니다. 사람의 몸은 평균적으로 약 70%가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의 몸은 물보다 약간 밀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사람이 물속에 가만히 숨을 참고 있으면, 부력이 중력을 상쇄하여 사람이 물에 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배가 물에 뜨는 것과 같은 부력 때문입니다.

    물은 물에 잠긴 물체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만큼 물체를 위로 밀어 올리려고 하고, 이를 부력이라 합니다.

    사람은 몸의 70%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 30%는 물보다는 비중이 낮기 때문에 부력이 발생하고 물에 뜰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사람마다 체성분의 차이가 있어 모든 사람이 비슷한 부력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