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호탕한지빠귀217
호탕한지빠귀21721.03.22

치매보험 젊은 나이에도 필요할까요?

요즘 치매보험 광고가 많이나오고있습니다. 30~40 대에 치매보험을 미리 준비하는게 맞는건가요? 너무이른거아닌가요? 요즘 의학의로 치매치료약이 나왔다고 들은것같은디 나중에 천천히들어놔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경식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 젊을때 미리가입한다!

    장점 : 보험료가 저렴함.

    차후 보험가입이 안되는 건강상태라도 상관없음.

    단점 : 당장 지출이 생김 (당장 발생되기 희박한 노인성 질병인데... )

    ● 50정도 되서 준비한다!

    장점 : ....

    단점 : 무쟈게 비싸다, 가성비가 너무 떨어짐.

    여유만 된다면,

    미리준비하는게 더 많은 장점이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윤현준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매보험은 경증 , 중증도 , 중증 치매진단을 받는 경우 진단금을 지급합니다.

    보험별로 300~2000만원 선입니다.

    중증치매 진단을 받으면 진단금 및 간병비 지원을 받습니다.

    매달 50만원에서 200만원 정도를 지급받게 됩니다.

    일반 계약은 진단금만 보장하고 특약 가입시 간병비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치매보험에 가입했다가 치매에 걸리면 득이지만, 치매에 걸리지 않는다면, 분명 손해를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족력이나 생활습관 등을 검토하여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장방법이나 필요성에 대한 점검이 없이 보험에 가입했다가 나중에 후회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한번 더 생각해 볼 것을 권유드립니다.

    - 최근 판매되고 있는 보험상품은 대부분이 경증치매(일반적으로 치매의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인 CDR1에 해당되면 경증치매에 해당)부터 보장하고 있지만, 실제 보험금을 지급하기까지 약관상 추가 적인 요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CDR1인 환자가 CT나 MRI 검사에서도 이상소견이 나와야 하며, 이 상태를 90일 이상 지속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실제 CDR1 정도의 경증치매환자가 CT나 MRI에서 이상소견을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실상 경증치매는 보장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