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짙푸른보석새82
짙푸른보석새82

논문에서 ~이 뭘의미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지금 논문을 읽고 있는데요,

~ 가 뭘의미하는지 통상적으로 ~는 어떨때 쓰는지 궁금해요

최대..? 아님 대략?

아래는 논문 발췌문장입니다.

This activity may

potentially be explained by a tight binding affinity between human Dcp2 and RNA,

as we find that Dcp2 exhibits an affinity of ~157 nM for m7G-capped RNA, which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affinity of eIF4E for m7G-capped RNA [14,15]. Intrigu-

ingly, we find that Dcp2 binds ~1.6-fold more tightly to its enzymatic product, 5’ mono-

phosphate RNA. Moreover, we find that eIF4E does not inhibit Dcp2 binding in our

hands in vitro. In fact, eIF4E occupancy increases the affinity of Dcp2 for the RNA by

~2-fold.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논문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대략'의 뜻입니다.

    그리고 혼란스러워 하셨던 '최대'는 보통 '<'나 '>' 이런 형태의 기호를 넣어 작거나 같고, 보다 크다 등등을 많이 사용하고 'up to'나 'maximum of'와 같은 표현으로 명확하게 표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주신 논문에서는 '~157 nM'는 약 157 nM, '~1.6-fold more tightly'는 '약 1.6배 더 강하게 결합한다', '~2-fold'는 약 2배의 뜻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논문에서 물결표는 "대략"이라는 의미로 쓰이게됩니다.

    정확한 수치가아니라 근사값이나 측정오차 범위내의 값임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그래서 an affinity of ~157 nM이라는 말은 결합 친화도가 약 157 nM정도이다.

    라는 뜻을 의미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물결기호는 대략~약 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약 157 나노몰농도 정도라는 뜻이고, 정확한수치가아닌 근사값임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논문에서 사용되는 물결표( ~ )는 일반적으로 ‘approximately’, 즉 ‘대략’, ‘약’, ‘정도’의 의미를 가집니다. 실험 결과나 수치를 표현할 때, 정확한 절대값보다는 근사값을 나타내거나 오차 범위 내의 대표 수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문장에서 “Dcp2 exhibits an affinity of ~157 nM for m7G-capped RNA”라고 되어 있다면, 이는 “Dcp2가 m7G-capped RNA에 대해 약 157 나노몰 정도의 결합 친화도를 보였다”는 뜻입니다. 이처럼 측정값의 소수점 단위까지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 혹은 여러 실험 결과의 평균값을 간결하게 제시할 때 물결표가 사용됩니다.

    또한 “Dcp2 binds ~1.6-fold more tightly”라는 문장에서는 “약 1.6배 더 강하게 결합했다”는 의미로, fold(배수 표현) 앞에서도 동일하게 근사값을 나타냅니다. 물결표는 통계적 근거가 없는 대략적인 추정값을 의미할 때는 사용되지 않으며, 실험적 측정이나 평균 결과에서 오차 범위를 내포한 근사값임을 알리는 용도로 쓰입니다.

    결론적으로, 논문에서의 ~ 기호는 “대략적으로”, “약”, “정도”의 뜻을 가지며, 수치가 완전히 고정된 값이 아니라 실험적 근사치 또는 평균값임을 명시하는 표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있으신 경우 댓글 적어주세요.

    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 논문에서 물결표는 '대략' 또는 '약'을 의미하는 기호로, 뒤따르는 수치가 정확한 값이 아닌 근사치임을 나타내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됩니다. 제시된 문장에서 해당 기호는 측정값이나 계산값에 내재된 불확실성이나 변동성을 표현하며, 값이 그 주변 범위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발췌해주신 해당 논문에 내용을 바탕으로 ~는 대략적이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처럼 논문에서 쓰인 물결표( ~ )는 과학 논문이나 기술 문헌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대략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물결표(~)는 영문 표현으로는 approximately, about, around를 나타내고 한글 의미는 “대략”, “약”, “정도”, “쯤”입니다.즉, 수치나 비율이 정확하지 않거나 오차 범위가 포함된 근사값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문장에서 보면, “Dcp2 exhibits an affinity of ~157 nM for m7G-capped RNA”는 Dcp2가 m7G-capped RNA에 대해 대략 157 나노몰의 친화도를 보인다.를 말하며 즉 정확히 157.000 nM이 아니라, 실험적 오차를 포함한 근사값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