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근사한저어새222
근사한저어새22221.07.06

지인이발에흰반점이보인다고하는데치료법이있나요?

지인이최근에발과무릎에하얀번점이집중적으로생겼다고 합니다.

전에는없던하얀반점이왜갑자기생겼는지의아해하면서좀걱정하고있습니다.

큰병은아니겠죠.

이런증상에도움이될만한생활습관이나좋은치료법은없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멜라닌 세포의 파괴로 인하여 여러 가지 크기와 형태의 백색 반점이 피부에 나타나는 후천적 탈색소성 질환을 말한다.

    증상

    다양한 크기의 원형 내지는 불규칙한 모양의 백색의 반점이나 탈색반으로 나타난다. 가려움 등의 증상은 대개 없어, 단지 미용상의 결함이 문제가 된다. 증상은 피부 어디에나 발생할 수 있는데 손발, 무릎, 팔꿈치 등의 뼈가 튀어나와 있는 부위와 눈 주위, 입 주위 등 구멍 주위에 잘 생긴다.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인구의 0.5~2%에서 나타난다. 발생 연령은 다양하지만 20세 전에 발병하는 예가 백반증 환자의 50% 정도에 이를 정도로 많다.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백반증 환자의 약 30%에서 가족력이 발견되기 때문에 유전적 요인이 의심되고 있다. 스트레스, 외상, 일광 화상 등이 백반증 발생에 보조적으로 작용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중요한 발병 원인으로는 자기 자신의 면역기능이 자신의 색소세포를 이물질로 잘못 인식하고 파괴시킨다는 자가면역설, 비정상적인 기능을 가진 신경 세포가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주변의 색소세포에 손상을 일으킨다는 신경체액설, 멜라닌 세포가 스스로 파괴되어 백반증이 생긴다고 하는 멜라닌세포 자가파괴설 등이 유력하다. 최근에는 이 세 학설이 따로 작용한다기 보다는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학설(convergence theory)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진단

    대개 육안에 의한 관찰로 쉽게 진단할 수 있다.

    검사

    필요한 경우에는 피부 조직검사, 우드등 검사(wood’s lamp), 색조검사 등을 통해 다른 질환과 감별할 수 있다.

    치료

    백반증의 치료는 만족스럽지 못하며 여러 가지 치료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10세 미만의 어린이거나 증상 부위가 좁을 때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연고를 바르거나 증상 부위에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할 수 있다. 증상 부위가 넓을 때는 전신 광치료를 하며, 최근에는 단파장 자외선 B(narrow band UVB)를 많이 이용한다. 근래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위의 자외선 노출을 최대한 줄이면서 증상 부위만을 치료하는 표적 광치료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장기간 안정된 부위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흡입 수포술, 세포 이식술 등 외과적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다.

    경과/합병증

    백반증의 경과는 환자마다 다르며 이것을 예측하는 방법은 없다. 색소가 소실되는 시기와 그 소실이 멈추는 시기가 끊임없이 반복하기도 하며 저절로 돌아오는 경우는 드물다. 망막 및 홍채의 색소 이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갑상선 기능저하증 혹은 항진증, 당뇨병, 원형 탈모증 등 자가면역 질환이 같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방법

    상처를 받은 부위에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부가 상처를 받지 않도록 한다.

    생활가이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여 햇볕에 의한 화상 등을 포함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정상 피부색과의 색 대비를 줄이는 것이 좋다.

    출처 서울대학교 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반증의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원인

    백반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백반증의 높은 가족력으로 미루어보아 유전적 소인이 관여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백반증의 원인에 대해서 면역설, 신경체액설, 멜라닌세포 자가파괴설이라는 3가지 학설이 제기되어 있습니다. 이 학설에서 제시하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면역설은 백반증 환자에 대하여 기관 특이성 자가항체의 비율이 높고 멜라닌세포계 항원에 대한 자가항체의 발생이 많다는 사실로 뒷받침됩니다. 신경체액설은 멜라닌 세포가 신경 능에서 기원하며, 백반증이 신경절에 따른 분포를 보이거나 신경 손상 혹은 정신적 스트레스 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이외에도 백반증의 유발 및 악화 요인에는 항상화 효소 부족, 칼슘 섭취 이상, 외상, 햇볕에 의한 화상 등이 있습니다.

    증상

    백반증의 증상으로는 피부 탈색, 백모증(모발 탈색)이 있습니다. 탈색반의 경계가 분명합니다. 탈색소성의 대칭성 반이 어느 부위에서나 생깁니다. 특히 뼈가 돌출된 손, 발, 팔꿈치, 무릎 등과 얼굴, 아랫배 등에 잘 생깁니다. 흰 반점의 경계부가 오히려 검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흰 반점이 나타나는 것 외에 다른 자각 증상은 거의 없습니다. 아주 드물게 병변 부위가 가렵거나 따끔거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백반증은 특이적으로 물리적, 화학적 외상을 입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백반증은 대개 육안으로 관찰하여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피부에 흰색 반점이 나타나는 질환은 백반증 외에도 다양합니다. 따라서 백반증은 반상 피부경화증, 백색잔비늘증, 어루러기, 염증 후 탈색증 등과 같은 질환과 감별되어야 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질환과 감별하기 어렵습니다.

    치료

    ① 스테로이드 치료
    병변이 작은 경우, 스테로이드 연고제를 국소 도포하거나, 트리암시놀론 국소 주사를 사용합니다. 병변이 광범위한 경우 전신 스테로이드를 경구 투여합니다.

    ② 광화학 요법
    전신 광화학 요법은 광민감제인 소랄렌을 복용하고 2시간 후 자외선 A를 조사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광민감제를 국소 도포하고 1시간 이후 자외선 A를 조사하는 국소 광화학 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③ 단파장 자외선 B치료(Narrow band UVB)
    광민감제의 복용이나 도포가 필요한 광화학 요법과 달리, 311nm 근처의 파장을 방출하는 단파장 자외선 B를 병변 부위에 조사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④ 표적 광치료(Targeted phototherapy)
    전신 광치료 기계 이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위의 자외선 노출을 최대한 줄이면서 병변 부위만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최근 엑시머 레이저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⑤ 외과적 방법
    박피술, 중간층 피부 이식, 펀치 이식, 흡입 수포술 등을 이용한 피부 이식술과 자가 멜라닌세포 이식 등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흡입 수포술은 정상 피부에 음압을 가하여 생긴 수포를 병변 부위에 옮겨 붙이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안정된 병변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경과

    백반증은 꾸준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완치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색소가 소실되는 시기와 그 소실이 멈추는 시기가 끊임없이 반복되기도 합니다. 색소가 저절로 돌아오는 경우는 드뭅니다.

    주의사항

    백반증 환자는 일상생활에서 피부에 자극이나 상처를 받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상처를 입은 부위에 백반증이 생기거나 백반증이 더 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백반증 환자는 자외선을 피해야 합니다. 그 부위에 멜라닌 색소가 없어 쉽게 일광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질병정보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갑자기 흰점들이 발생했다면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가까운 피부과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답하긴 힘들지만, 백반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백반증의 원인

    멜라닌세포가 소실되어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백색반이 피부에 나타나는 질환으로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으나 환자의 30 %에서 가족력이 발견되기 때문에 유전적 소인이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외상 일광화상등은 보조적인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백반증의 증상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습니다.

    하얀 반점들이 한 부위에 국한되어 발생하기도 하지만 전신적으로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며 머리카락, 눈썹체모, 입술, 눈의 점막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건강에 큰 영향을 주거나 전염성을 띄는 병은 아닙니다.

    백반증의 치료

    자외선 차단제 도포, 모자등으로 자외선을 철저히 피하고

    종합비타민제등 항산화제를 장기 복용하고 과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치료에 큰 도움이 됩니다.

    흡연은 체내에 활성산소를 촉진시켜 멜라닌 세포를 파괴하므로 절대 금연해야 됩니다.

    완치가 어려운 병이지만 꾸준하고 성실한 치료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외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직접 피부과 가셔서 진료보시기 바랍니다

    너무 걱정할일은 아닙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반증의 증상에 속하십니다만 정확한진단은 병원에 가보셔야할것 같습니다.



    백반증을 일으키는 요소는 다양합니다.

    후천적으로 피부에 백색의 반점이 생겨 점차 커지는 난치성 피부병변입니다.

    자기자신의 면역기능이 자신의 색소세포를 파괴시킨다는 자가면역설,

    비정상적인 기능을 가진 신경세포가 화학물질을 분비,

    주변의 색소세포에 손상을 일으키는 신경체액설,

    멜라닌 세포가 스스로 파괴 된다는 자가파괴설 등이 중요한 발병 원인입니다.


    백반증의 증상

    주된 증상은 피부색의 부분적인 손실입니다.

    노출부위인 얼굴, 목, 손, 팔등에서 하얀반점들로 시작되는 경우가 흔하며, 그 외

    이마선 부위, 허리둘레, 겨드랑이, 배꼽부위, 팔꿈치, 무릎에도 흔히 발생합니다.

    이른 나이에 흰머리가 나거나 체모가 희게 변하는 경우에도 의심해 볼수 있습니다.


    백반증을 치료하기 위해선

    초기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도포에 의해 치료가 가능하며

    병이 전신에 퍼지는 경우는 경구 스테로이드 요법이 효과를 나타냅니다.

    자외선을 이용한 광선요법이 큰 부작용 없이 좋은 효과를 보이므로 약물치료 더불어 중요한 치료법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치료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표피이식술을 시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백반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백반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피부 곳곳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하얀 반점들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탈색소 피부질환입니다.

    피부의 멜라닌 세포가 소실되어 발생하는데 멜라닌 세포는 멜라닌이라는 색소를 생산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멜라닌 세포가 부분적으로 소실되어 피부에 하얀반점이 생깁니다.


    일단 백반증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병변의 양상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통형 백반증: 흰 반점들이 피부 곳곳에 대칭적으로 발생

    (2) 분절형 백반증: 피부분절에 국한하여 편측으로 발생

    (3) 국소형 백반증: 국한된 부위에 하얀반점이 1-2개 발생

    (4) 범발형 백반증: 전신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생(가장 심한상태)


    치료법

    병변 초기에 집중치료시 많은 효과가 있는데 치료 방법에는

    먹는약(스테로이드)과 바르는 약이 사용되며 자외선 치료 및 엑시머 레이저 기술까지 사용됩니다.

    레이저 및 약물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멜라닌 세포가 정상적인 부분에서 피부를 채취 피부이식 수술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반증의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백반증의 원인들

    멜라닌 색소의 감소로 인해 피부에 흰 반점이 생겨납니다.

    흰 반점의 범위와 양상은 사람마다 다른데 유전적, 면역학적, 생화학적등 여러 요소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생긴다고 보고 있습니다.

    두피에 반점이 생기면 그 부분은 백발이 됩니다.



    백반증에 걸리면 여러가지 증상들이 오게 됩니다.

    피부탈색, 모발탈색등이 있습니다. 뼈가 돌출된 손, 발, 팔꿈치, 무릎등과 얼굴, 아랫배등에 잘 생깁니다.

    흰 반점이 나타나는 것외 다른 자각 증상은 거의 없으나, 특이적으로 물리적, 화학적 외상을 입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잇습니다.


    치료

    다섯가지 치료방법으로 분류합니다.

    (1) 스테로이드치료: 병변이 작은 경우 연고제를 국소에 도포

    (2) 광화학요법: 광민감제인 소랄렌을 복용하고 2시간후 자외선을 조사하는 치료방법

    (3) 단파장 자외선B치료: 311nm 근처의 파장을 방출하는 단파장 자외선B를 병변 부위에 조사하는 치료방법

    (4) 표적광치료: 불필요한 부위의 자외선 노출을 최대한 줄이면서 병변부위만을 치료하는 방법

    (5) 외과적방법: 피부 이식술과 자가 멜라닌세포 이식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반증의 치료는 만족스럽지 못한 편이며 여러 가지 치료방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거나 병터내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 치료, 단파장 자외선 B(narrow band UVB)나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광치료, 그리고 병변의 진행을 막기 위한 경구 스테로이드 치료 등이 있습니다.

    장기간 안정된 부위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흡입 수포술, 세포 이식술 등 외과적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피부 질환은 직접 피부 병변을 보며 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이 불가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피부질환에 임의로 피부과 연고나 약을 사용하시는 경우, 절반 이상이 잘못 사용하고 있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병원에 내원하시는게 어렵더라도 한번 시간 내셔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큰 도움 못드려 죄송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피부 상태를 직접 확인해 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듯 합니다만,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백반증일 가능성도 고려해 봐야 합니다. 백반증은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서 색소를 만들어 내는 멜라닌 세포가 소실되어 유발되는 질환이지요.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니 피부과에 가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백반증이 맞다면 가급적 피부에 자극을 줄이는 것, 자외선을 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증상이 악화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