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약이 염기성이라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쓰는 치약은 보통 염기성이라고 하는데요.
이렇게 치약이 염기성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제 생각에는 산성이어야 뭔가 세균이 녹아서 죽을것같은데 말이죠..
궁금합니다..
일반적인로 치약에 산도는 약 PH 5.5에서 9 정도로 약 산성에서 알칼리성입니다 무조건 알칼리성을 띄고 있지는 않습니다 치약은 치약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하여 충치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합니다.
산성과 염기성 둘다 세균을 죽이지만 원리가 다릅니다. 염기성은 단백질 분자 구조를 녹여서 살균을 합니다.
비누나 세제에 있는 계면활성제가 치약에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치약이 염기성인 것 같고 그것보다는 치약의 세정제, 마모제, 불소 성분이 칫솔질의 의의에 부합하는 성분입니다.
입안의 소화 효소가 산이기 때문에 중화 반응을 위해서 염기성을 씁니다.
충치가 생기는 것은 세균이 소화하여 치아를 산성으로 만들기 때문이므로 염기성이 필요합니다.
치약 안에 있는 성분으로 인하여 염기성을 보이나 ph 7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사실상 구강 내에 영향은 없습니다. 산성이라도 강산성 이상이어야 세균에 영향이 있으나 이는 구강 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입안의 균은 산성이 상태에서 활동이 활발하기에 염기성을 띄는 치약으로 양치를 하는 것이 세균 활동을 억제하고, 충치를 예방할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충치는 산성환경에서 생깁니다. 그러니 치약이 산성이어서는 안됩니다. 치약 뿐 아니라 다른 주방세제나 청소할 때 쓰는 세제들도 대부분이 염기성입니다. 세탁할 때 쓰는 세제는 염기성에 손상되는 섬유와 피부보호를 위해 중성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원래 예전부터 세탁이나 설거지에 사용하던 양잿물같은 것도 다 염기성이고, 지금은 락스가 대표적인 강염기성 소독제 겸 세제입니다. 비누도 염기성이구요. 일반적으로 오염될 수록 산성이 되고, 그것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염기성제품이 필요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