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조정수익률(RAROC)는 높을 수록 좋은건가요?
RAROC가 하나는 40%고 하나는 30%라고 가정한다면 40%쪽이 더 좋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퍼센티지가 높은 만큼 더 위험하다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해당 지표는 위험을 조정하고 낸 수익률이라는 의미이므로 당연히 이 RAROC 지표는 높을수록 더 수익성이 좋은 것으로 봅니다. 여타 지표 중 '샤프비율(위험 한 단위당 거둔 수익률)'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험조정수익률이라는 것은 개별자산에 대한 위험도를 반영해서 수익률을 조정한 수익지표를 말하는 것인데, 이는 은행에서도 금리를 산출하게 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위험조정수익률이라는 것은 높을수록 해당 자산의 리스크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낮을수록 해당 투자에 대한 리스크가 낮다고 이해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험조정수익률은 투자자가 받는 예상 수익을 해당 투자의 위험 수준으로 조정한 수익률 입니다. 이는 투자의 수익성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높은 위험조정수익률이 높은 수익과 적은 위험을 동시에 가져온 투자를 나타내므로, 이는 좋은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AROC은 회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위험대비 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이 값은 높을수록 사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0% 쪽이 더 위험대비 이익율이 높다는 뜻이므로 더 좋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