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양육쇼크
양육쇼크

용암이 굳으면 밀도가 커지나요?

지구과학 판구조론과 대륙 분포변화를 공부중인데 용암이 굳으면 밀도가 커지는지 궁금해요.

밀도가 커진다면 그 이유도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용암은 녹아 있는 상태로서 높은 온도에서 액체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용암이 주변 환경과 접촉하면 온도가 빠르게 하강하여 굳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용암의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고 정렬되어 고체가 되면서 밀도가 증가합니다.용암이 굳으면 공간 사이에 있는 빈 공기나 기체 성분이 제거되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질이 굳으면 밀도가 높아집니다. 분자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떄문입니다.

      그런데 용암은 굳는 과정에서 내부의 가스가 나오게 되고 구멍이 생기게 되어 현무암이 됩니다.

      그런 구멍의 존재로 인해 밀도가 오히려 낮아지게 됩니다 :)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용암은 굳기 전에 높은 온도로부터 신속하게 냉각됩니다. 이 과정에서 용암 내의 미네랄 성분들이 결정화되고 응고됩니다. 결정화는 물질의 입자가 정렬되어 밀집도가 높아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용암이 결정화되면 암석이 형성되는데, 암석은 일반적으로 용암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용암이 굳어질 때, 물질의 입자가 정렬되고 밀집도가 높아지므로 밀도가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용암은 고온 상태에서 유동성을 띠고 있는 물질로, 땅 위를 흐르며 강하게 끌어당기는 물리적인 힘과 고체화되어 점점 더 밀도가 높아지는 과정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용암이 식으면, 용암 내부의 성분들이 결합하여 고체가 됩니다. 이때, 용암 내부의 성분들이 결합하면서 밀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결합된 성분들이 더 높은 질량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결국, 용암이 굳으면 밀도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용암의 고체화 과정에서는 성분들의 결합 형태나 용암의 성분 구성 등에 따라 밀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용암이 굳으면서 형성되는 암의 종류도 다양하며, 이 또한 용암의 성분과 결정화 과정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용암이 굳으면 밀도가 증가한다는 일반적인 원리는 맞지만, 세부적인 변화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연히 용암이 녹아있는 액테

      상태라서 고체로 변하면서 다룬 분자들과 합성울 하여 밀도가 노 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기체<액체<고체 순으로 밀도가 크고 부피는 기체>액체>고체슌으류 부피가 커집니다. 그 이유는 기체 상태에서 분자간의 거리가 멀어서 부피가 커지고 밀도 = 질량 / 부피이므로 밀도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고체는 분자간 거리가 짧아서 부피가 작고 밀도가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