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에 있는 작은종양이 문제를 일으킬때
안녕하세요
폐에 있는 종양으로 인한 감염,염증 반응으로 폐수종이 유발된 경우라면 염증수치는 정상이고 백혈구수치만 올라갈 가능성이 높나요?
괜찮다가 종양이 아주 약간만 커지거나 위치가 움직여도 갑자기 저런 문제를 유발시키나요?
폐에 종양이 있어도 목에 뭐가 걸린듯한 기침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폐에 있는 종양으로 인한 감염,염증 반응으로 폐수종이 유발된 경우라면 염증수치는 정상이고 백혈구수치만 올라갈 가능성이 높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경우가 폐에 있는 병변으로 인한 것이라면 infection source이며 이는 조만감 다른 수치를 모두 상승시킬 것입니다.
괜찮다가 종양이 아주 약간만 커지거나 위치가 움직여도 갑자기 저런 문제를 유발시키나요? 종양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린 것 같습니다. 감염성 병변이라면 크기/위치에 상관없이 증상을 유발할 것입니다.
폐에 종양이 있어도 목에 뭐가 걸린듯한 기침이 나오나요? 이러한 기침은 비특이적인 증상이기 때문에 말씀하신 병변으로 포함한 여러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을 자세히 읽어보았습니다.
폐에 생긴 종양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종양으로 인한 감염이나 염증 반응 때문에 폐수종이 유발된다면, 염증 수치가 정상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혈구 수치가 올라갈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몸이 감염이나 염증을 대응하기 위해 백혈구를 더 많이 생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종양이 갑자기 크기가 조금 변하거나 위치가 바뀌면 이러한 변화가 증상의 급작스러운 발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종양이 주변 조직이나 기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에 크게 좌우됩니다. 특히, 혈관이나 기도 주변에 위치한 종양은 그러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폐에 종양이 있는 경우, 기침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흔히 느껴지는 목에 무엇이 걸린 듯한 느낌과 비슷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기도를 자극하거나 영향을 미치면 이러한 기침이 발생할 수 있고, 병의 진행 상황에 따라서 증상의 강도나 빈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폐에 생긴 작은 종양이 폐수종을 일으킬 정도의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면 일반적으로 염증 수치도 함께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염증 반응이 초기 단계이거나 국소적으로 제한적일 경우, 백혈구 수치만 먼저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종양의 위치나 크기가 미세하게 변해도 기도나 혈관을 압박하거나 자극하면 증상이 갑자기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폐 주변 조직과 밀접한 위치에 있는 종양일수록 민감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폐에 종양이 있을 경우, 기관지 자극이나 점액 분비 증가로 인해 목에 뭔가 걸린 듯한 기침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기침은 특히 종양이 기도를 압박하거나 염증을 유발할 때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폐에 종양이 있을 경우, 감염이나 염증 반응이 생기면 폐수종이나 다른 증상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염증이 있을 때 염증수치(C-반응 단백질, ESR)가 올라갈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백혈구 수치가 올라갈 수도 있죠. 백혈구 수치의 상승은 감염이나 염증 반응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염증과 관련된 반응이 백혈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염증 반응이 백혈구 수치 상승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므로 추가적인 검사나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폐의 종양이 조금만 커져도 주변 조직에 압박을 가하거나 다른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위치나 크기에서 약간 변해도 기침, 호흡곤란, 흉통 같은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폐에 종양이 있을 경우 기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종양이 기도를 자극하거나 기도에 염증을 일으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증상입니다.
목에 무언가 걸린 느낌과 기침은 종양 외에도 여러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