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3.12.23

항복의 상징인 흰색은 어디서 시작된 것인가요?

복싱 경기에서 항복을 할 때 흰 수건을 던지고 전쟁에서도 항복의 의미로 흰 깃발을 내세웁니다. 역사적으로 사건이 있었을 것 같은데 그 시작은 언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3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항복의 상징 백기의 기원이 궁금하군요.

    백기가 항복의 의미로 최초로 사용되었다는 역사적 기록은 기원전 218년부터 201년까지 벌어졌던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카르타고를 침공했던 스 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흰색 양모와 올리브 가지를 내건 적함을 발견하고 불쌍히 여겨 배에 타고 있던 카르타고 병사 10여명을 죽 이지 않고 포로로 하였다는 것이 로마의 역사학자 타키투스(AD 56년~AD117년)에 의해 기록된 것입니다.

    타키투스의 기록에 의하면 기원전 69년 로마 내전 당시 일어났던 제2차 베드리아쿰 전투(Second Battle of Bedriacum)에서도 항복한 장병들이 백기를 내걸었다고도 합니다.

    따라서 로마 제국 시절부터 백기가 항복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중세에 와서 서유럽의 나라들에서는 백기가 교전의사가 없음을 나 타내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어 포로의 모자에 흰색의 종이나 천을 붙이기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알수 없습니다.

    서기 69년 포에니 전쟁 시기에 항복하려고 백기를 걸었다는 고대 로마의 기록도 있고

    기원전 100년 경에 한나라에서 백기는 협상요청 이라는 기록이 있으니까요

    일단 이 둘이 각각 동서양의 가장 오래된 백기사용 기록인데

    "이 후로 항복이란 뜻으로 백기를 썼다"라는 기록이 아니라

    백기로 항복을 표현했다 정도의 기록이고 이 전에는 백기를 쓰지 않았다는 기록도 없으며

    동양기록이 훨씬 빠르긴 하지만 시대적으로 한쪽에서 수입되었을 리는 절대 없으니까

    언제부터 쓰기 시작한건지는 아무도 알 수 가 없어요

    뭔가 엄청난 사건이 있어서 백기가 상징이 된것이 아니라

    자기를 표현하기 위한 깃발에는 당연히 자기만에 색깔이나 무늬가 있으니

    이런 색깔도 무늬도 없는 백색은 자기표현을 그만둔다=경쟁을 그만둔다=항복

    이런 의미로 자연스럽게 통한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처음 백기가 항복의 의미로 사용된 것은 제 2차 포에니 전쟁 때 카르타고 군함이 하얀 천과 올리브 가지를 항복의 표시로 내걸었다는 기록입니다.

    서기 69년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측과 비텔리우스 측이 맞붙은 베드리아쿰 전투에서도 비텔리우스 측이 항복한다는 의미로 백기를 내걸었다는 내용이 로마의 역사학자 타키투스에 의해 기록된 바, 로마제국 시절부터 백기가 항복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흰색은 평화, 순수, 항복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원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교에서는 흰색이 청정함과 평화를 상징하며, 기독교에서는 흰색이 순결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그래서 흰색이 항복의 상징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 유럽에서 흰색 깃발을 주로 포기나 항복을 사용하는데 쓰이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딱 첫 사건이 언제인지는 정확히 기록되어있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기와 같은 경우에는 기원전 218년부터 201년까지

    벌어졌던 고대 로마제국 2차 포에니 전쟁 시절부터

    항복의 상징으로 사용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