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뽀로로
뽀로로23.02.17

ROE라는 용어는 무슨 단어의 약자이고 무슨 뜻인가요?

기업의 ROE는 몇이다 이런 표현을 많이 쓰던데 ROE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ROE 계산법이나 수치가 높을수록 어떤건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라는 것은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서 우리나라 말로는 자기자본이익률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 ROE는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의 이익을 나타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로서,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의 공식을 통해서 산출하게 됩니다. ROE가 높을수록 해당 회사는 자기자본 투입에 비해서 더 효율적으로 높은 이익을 내는 영업활동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ROE가 높을수록 해당 회사의 주식투자의 투자수익률의 가치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주주의 자기 자본에 대한 순이익의 비율을 계산하여 회사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재무 비율입니다.

    ROE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OE = 순이익 / 주주지분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서 세금, 이자 등 모든 비용을 뺀 금액이고, 자기자본은 주주가 기업에 투자한 자본금을 의미한다.

    ROE가 높을수록 회사가 투자한 주식 1달러당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일반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이상적인 ROE는 산업과 회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매우 높은 ROE는 회사가 너무 많은 부채를 떠안고 있거나 성장을 위해 이익을 재투자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ROE가 자기자본비용보다 높은 기업은 주주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기업으로 간주됩니다. 자기 자본 비용은 주주가 회사에 투자하기 위해 요구하는 수익이며 회사의 위험 및 우세한 시장 상황과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에 대한 문의이신 것으로 보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란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값을 자본 값으로 나누어 구한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란 (자기자본이익률)

    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로 자기자본에 대한 기간이익의 비율로 나타낸다. 보통 경상이익, 세전순이익, 세후순이익 등이 기간이익으로 이용되며, 주식시장에서는 자기자본이익률이 주가에 반영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투자지표로도 자주 이용된다.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의 공식으로 산출된다.

    이는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한다. 만약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

    따라서 ROE 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


  • 안녕하세요. 견실한상사조119입니다.

    ROE는 기업의 재무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Return On Equity, 자본 대비 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기업이 100억의 자본을 가지고 있는데 당해년도에 50억의 이익을 냈다면 ROE는 0.5가 되는 식입니다.

    ROE는 비율지표인 만큼 자본 규모가 서로 다른 기업의 경영활동 성과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참고로, 삼성전자의 분기 ROE는 13.4, KB금융의 ROE는 10, SK텔레콤의 ROE는 5.29 수준입니다.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당기순이익을 자본으로 나뉘어 계산합니다


  • 안녕하세요.


    ReturnOnEquity 자기자본이익률 입니다.



    자기자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보통 경상이익, 세전/ 세후순이익 등이 기간이익으로 이용됩니다.


    주식투자 관련 자기자본이익률이 주가에 반영되므로 주요 투자지표중 한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Return on equity 즉,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하며, 워런 버핏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지표이기도 합니다. 이 ROE는 주주자본 대비 순이익이 어느정도인지를 통해 구하며, 당연히 높을 수록 주주의 돈을 잘 굴려 수익을 잘 냈다는 의미가 되므로 높은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 의 약자이고, 직역하면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자기자본이이귤은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당기순이익 값을 자본 값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 수치가 높을 수록 투입된 자본대비 많은 수익를 창출 할 수 있다는 뜻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