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챗봇인 딥시크는 지피티랑 많이 다른가요?
중국 ai챗봇인 딥시크는 지피티랑 많이 다른가요? 지피티와는 다른 에이아이라고 하는데
알마나 어떻게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GPT는 완전히 기초에서 자료를 수집해서 값을 내는 것이라면 딥시크는
이미 다른 LLM에서 만들어낸 답지를 보고 본인 것으로 만들어서 제시하는 모델입니다
따라서 기존에 LLM들을 스승으로 생각하고 배워서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은 첫번째 모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GPT보다 더 효율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미국의 현재 서비스 업체들도 딥시크의
기술을 차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딥시크는 중국에서 개발된 AI 챗봇으로, GPT와는 다른 모델 구조와 학습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GPT는 주로 영어 데이터로 학습된 반면, 딥시크는 중국어 데이터에 특화된 모델로 설계되어 문화적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 AI 스타트기업 딥시크에서 만든 생성형 AI 모델이 챗GPT와 유사한 성능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중국의 딥시크는 챗gpt와 같은 고급 자연어 처리 기술에 의한 llm서비스인 것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딥시크는 중국어 데이터셋에 의존하며 중국의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등을 더 참고하는 반면 챗gpt는 영어 데이터셋이 주를 이루며 전 세계의 다양한 언어와 문화적 맥락을 학습한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딥시크의 경우는 중국의 AI 챗봇이다 보니 챗GPT와 문화적 차이나 답변하는 스타일이 조금 다릅니다.
또한, 중국어 기반의 데이터 학습이 된 모델이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민감한 질문이나 정치적인 질문은 답변 안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챗GPT 대비 저성능의 GPU로 설계된 LLM 모델 입니다.
챗GPT의 경우는 잘 알고 계시는 것처럼 영어 중심의 AI 모델로 전 세계의 다양한 언어와 데이터로 학습 되어
딥시크 보다 폭 넓은 질문에 답하며,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라며, 설 연휴 잘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중국 딥시크가 발표한 AI 모델로 인해 세계 인공지능 시장이 시끄러운데요. 챗GPT와 비교하면 차이점이 있습니다.
딥시크는 경량화된 모델로 고성능 AI 칩없이도 저성능 GPU에서 동작이 가능해 효율성이 좋습니다.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챗GPT는 대규모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학습되어 대화형 AI서비스에 적합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학습해 성능이 점차 향상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각 특징과 장단점이 있어 목적에 따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중국 AI 챗봇 딥시크는 ChatGPT와 유사하지만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딥시크는 저비용 고효율 모델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중국 시장과 사용자층에 맞춰 최적화된 AI입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저사양 GPU를 활용해 낮은 비용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ChatGPT는 다국어 지원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글로벌 AI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복잡한 구조와 강력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딥시크는 중국의 엄격한 데이터 검열과 규제를 준수해야 하므로 민감한 주제에 제한이 있지만, ChatGPT는 보다 중립적이고 폭넓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딥시크는 주로 중국 내 비즈니스와 고객 서비스에 특화되어 있는 반면, ChatGPT는 교육, 연구, 창작 등 글로벌 시장 전반에 걸쳐 활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생성형 AI라는 점은 비슷합니다. 다만 요금은 저렴하고, 칩을 빅테크 기업처럼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하고, 또 아무도 예상치 못한 수준이라서 충격을 준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이라 그 기능의 유사성이 있습니다. 다만 그 개발비라든지, 사용료라든지 이러한 항목이 gpt의 약 1/10 수준이라 그 놀라움이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물론 고급 AI 기능이나 챗봇 기능에서는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최근 평가에서는 비슷하거나 구글 챗봇, 챗GPT 보다 성능이 더 우수하다고 알려 졌고 실제로 투자비는 1/10 이하라 가성비 측면에서는 비교 대상이 아닌 듯합니다. 아래 잉크에 게재한 제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a-ha.io/homepage/update/column/4039d1b5660fe01eb9d4bc8220fc57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