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발생하는 물꽃현상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발생하는 물꽃현상이라는 것은
한번 발생하면 생태계를 파괴한다고 하던데
물꽃현상이라는 것은 정확하게 어떤 자연현상을 말하는 것인가요?
물꽃현상이 발생하는 과학적인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부영양화 된 호수에 조류가 대량 증식하여 물 표면의 색깔이 녹색이나 갈색으로 변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꽃현상은 수면 위에 물속 식물이 대량으로 번식하여 모여 표면을 덮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관찰됩니다.
물꽃현상은 과도한 영양분이 물에 존재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영양분은 농업, 도시 폐수, 비료 사용 등으로 인해 물에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 영양분은 물 속 식물인 조류나 수중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킵니다.
물꽃현상이 발생하면 물 표면을 덮고 태양의 광합성을 억제하여 수중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물 아래에 있는 식물들은 햇빛을 받지 못하고 산소 부족으로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물꽃현상은 물의 투명도를 낮추고, 수면 아래에 있는 동물들의 이동과 생활 환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꽃현상은 녹조현상이라 생각하면 될듯 합니다
플랑크톤의 번성으로 인해 물의 색이 변하는 것을 영어로 Water bloom 이라고 합니다.
물이 고여 있고 일사량의 증가와 수온상승으로 인해 물속의 질소나 인과 같은 플랑크톤의 영양분이 과잉 증가하면 플랑크톤이 다량 발생하게 됩니다. 이것이 녹조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발생하는 물꽃 현상은 특정 조류가 비정상적으로 대량 번식하여 수면에 집적되어 물 색깔이 변하는 현상입니다. 녹조, 적조, 황조 등 조류의 종류에 따라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며, 부영양화, 수온 상승, 햇빛 강도 증가 등의 환경적 요인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꽃현상은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으로 물 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이 빠르게 증식하여 물의 색깔이 녹색이나 붉은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미생물들이 증식하면서 물 속의 산소를 소모하고 이로 인해 다른 생물들이 생존하기 어려워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물꽃현상이 발생하는 과학적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물 속에 존재하는 영양분의 과다한 양입니다. 물 속에 존재하는 질소나 인산 등의 영양분이 과다하게 증가하면 미생물들이 이를 이용하여 증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물꽃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의 온도나 산도 산소 함량 등의 환경 요인도 물꽃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꽃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의 환경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물꽃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물 속의 영양분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꽃현상은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조류가 대량으로 번식하여
물의 색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물꽃현상이 발생하면 물의 투명도가
떨어지고 수중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물꽃은 광합성을 통해 성장합니다.
광합성은 이산화탄소와 햇빛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인데
이때 필요한 영양염류는
주로 질소와 인입니다.
영양염류가 증가하면 물꽃의 성장이
촉진되어 물꽃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꽃은 수온이 높을수록 잘 자랍니다.
여름철과 같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물꽃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질이 저하되면 물꽃의
생존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오염된 물에서는 물꽃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꽃이 죽으면 부패하면서
물의 질을 악화시킵니다.
물꽃이 수중 생태계를 차지하면서
물고기와 같은 다른 생물의 서식지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이면 강이나 호수의 물이 녹색으로 변하는 것을 ‘녹조(綠潮)현상’이라 부른다. 정확히는 조류가 대량으로 번성하는 ‘조류 대발생’으로, 다양한 조류가 대량으로 번성하면서 물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영어로는 ‘water bloom(물꽃)’, 일본어로는 ‘미즈노 하나(水の華)’라고 한다. 우리나라 학계는 이를 번역해 물꽃현상 또는 수화현상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바닷물이 붉게 물드는 ‘적조(赤潮)현상’과 대비해 강이나 호수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녹조현상이라 부르기 시작했고, 지금은 일반에 쉽게 이해되는 용어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출처 : 싱글생글 - [과학과 놀자] 지구에 산소 공급하지만 녹조현상 일으키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