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12

동기전동기의 제동권선은 유도기의 농형 회전자랑 같다는데 왜 그런거죠?

제동권선
- 난조 방지
- 동기전동기의 경우 기동토크 발생
- 구조상 전기자의 3상 권선에서 보면 일종의 농형 유도전동기의 2차 권선으로서 작용 회전자가 동기속도에서 벗어나 고속도가 된 경우에는 그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작용하여 회전속도의 주기적인 변화를 방지함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24.03.30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동기전동기의 제동권선과 유도기의 농형 회전자는 겉보기에는 매우 유사하게 생겼지만,

    작동 방식과 역할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두 구조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면 각각의 역할과 중요성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제동권선과 농형 회전자 모두 도체로 이루어진 슬롯에 코일을 감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정자 자기장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방식입니다.

    동기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슬립 주파수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킵니다.

    유도전동기의 기본적인 회전 구성 요소입니다. 고정자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회전력을 얻고, 유도된 전류에 의해 토크를 발생시킵니다.

    동기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고 정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유도전동기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주요 부품입니다.

    제동권선은 외부 저항을 통해 제어되는 반면, 농형 회전자는 고정자 자기장에 의해 직접 제어됩니다.

    제동권선은 주로 속도 조절이 중요한 산업용 동기전동기에 사용되는 반면, 농형 회전자는 다양한 유도전동기에 사용됩니다.

    동기전동기 제동권선과 유도기 농형 회전자는 외형적으로 유사하지만,

    작동 방식, 역할, 제어 방식, 사용 분야 등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구조의 특징을 이해하면 동기전동기와 유도전동기의 작동 원리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