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혁명은 기계 혁명이라고 하는데 왜 이렇게 부르나요?
기계 혁명이 제2차 혁명이라고 하는데 무엇 때문에 이를 2차 혁명이라고 하며 어떠한 혁신적인 이벤트가 있었고 이를 통해 인류가 얼마나 발전했나요?
안녕하세요 기계공학 전문인 박성수 전문가입니다
기계적 생산 방식의 도입, 증기기관의 발전, 공장 시스템의 확립, 전기와 화학 공업의 발전 등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대규모 기계화를 가능하게 하여 현대 산업사회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로 인해 제2차 산업혁명은 기계 혁명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제 2차 산업 혁명을 기계 혁명 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시기에 전기와 내연기관 같은 새로운 동력원과 대량 생산 방식이 도입되면서 기계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주요 혁신과 발전 :
전기 동력의 확산(1860년대 후반) : 베르너 폰 지멘스의 발전기 원리 발견과 현대적 발전소 건설로 전기가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이는 공장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였습니다.
내연기관의 등장(1870년대 후반) : 가솔린 및 디젤 엔진 개발은 자동차, 선박 등 운송 수단과 발전 기술을 혁신했습니다.
대량 생산 체계 구축(1900년대 초) : 헨리 포드가 자동차 생산에 컨베이어 벨트를 도입하면서 노동 분업과 표준화를 통한 대량 생산이 가능해져 제품 가격을 낮추고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신기술 발전 : 전화기, 라디오, 에어컨, 전기 세탁기 등 다양한 생활 편의 기기들이 발명되어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인류는 과거보다 훨씬 풍요롭고 편리한 삶을 누리게되었으며, 세계경제포럼은 2차 산업혁명을 인류 문명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한 혁명으로 평가합니다.
기계 혁명은 산업화와 기계화의 급속한 발전을 지칭합니다. 이는 수작업에서 기계 작업으로의 전환과 산업 생산성의 급증을 가져왔습니다. 즉, 산업 분야에서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완전히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것으로, 산업의 성격과 생산 방식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이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제적 발전을 이루는 기반을 마련했다고들 합니다.
"제2차 혁명"은 정보 기술과 디지털화의 발전을 가리키며, 이에 따른 혁명적인 변화를 "기계 혁명"의 연장선으로 보는 용어입니다.
전기를 활용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대량생산에 성공하고 생산 단가하락이 대중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재화를 공급하게 되면서 2차산업 혁명은 전기와 기계의 혁명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로인해 현재는 거의 모든 공장에 컨베이어 시스템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