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걸렸는데 걸리는 이유와 언제쯤 낳을까요?
신장 이식후 아무 이유없이 뒷골이 아프다가 수포가 올라와서 대상포진 알았어요.
한달지났는데 통증이 아직도 있어서요.
치료제도 없는건가요?
대상포진은 varicella-zoster virus(VZV)가 소아기에 수두들 일으킨 후에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재발하는 질환입니다.
대상포진의 경우 발진 발현 후 최대한 빠른 시간(늦어도 72시간)내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시에 증상 지속기간, 강도, 전염력등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질환은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호전되기 마련이며 회복이 더디다면 건강한 식단 관리, 충분한 수면, 필수 무기질 섭취등을 통해 몸이 회복하는데 여러 요인들을 지지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 때문에 고생이군요.
대상포진을 앓고 난 후 사람에 따라서 수개월 동안, 혹은 아주 길면 수년 동안 이환부위의 감각이상이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투고 포진 후 신경통 (Post herpetic neuralgia) 라고 부릅니다.
대부분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완화되는 경과를 보입니다. 포진 후 신경통이 있는 경우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을 조절하게 됩니다.
하지만 통증의 정도가 너무 심하거나 만성적으로 오래가는 경우, 통증의학과에서 신경차단술 같은 시술을 받기도 합니다.
너무 통증이 심하시면, 대학 병원 마취통증의학과나, 통증를 주로 보는 개원가에 가서 상담을 받아보세요~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의 경우 면역력저하 등에 의해 신경절에 잠복되어 있던 바이러스가 활성화 되면서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신이식후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하고 계시다면 이식받은 병원 외래에 내원하시어 항바이러스제 복용등에 대해 상의를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varicella zoster virus라고 하는 바이러스 감염질환입니다.
첫 감염시에는 수두로 발현되는데 이후에 몸의 신경절에 숨어있다가 신경을 타고 나와서 피부에 수포성 병변을 만듭니다.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대상포진이 생깁니다.
처음 진단받으셨을 때 항바이러스제 복용하지 않으셨나요?
지금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있으신걸로 보이며 이때는 신경통약이 프리가발린같은 약을 먹어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수두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치료 한 이후 수두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하고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된 후 재활성화 되어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침범한 신경절의 피부 분절을 따라 심한 통증, 수포 발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신경이 손상받는 경우에는 신경통 양상이 지속될수 있습니다. 길게는 1년 이상 지속될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약물 치료를 유지하거나 영향을 받은 신경 주변으로 신경 차단 주사 치료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