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각역에 있는 종은 예전에는 어떤용도로 사용되던 종인가요?
서울 종각역에 있는 종은 예전에는 어떤용도로 사용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지금은 새해를 알리는 용도인데 옜날에도 그런용도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68년(세조 13) 작. 보물 제2호. 1985년까지 종로 보신각에 걸려 있어 제야(除夜)의 종으로 사용되었던 종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이관, 보존 중이다. 원래는 1395년(태조 4) 종로 운종가(雲從街)에 종각을 짓고 권근(權近)이 찬문(撰文)을 쓴 대종(大鐘)을 매달아 조석(朝夕)을 알렸으며, 다시 1468년(세조 13)에 대종을 주성(鑄成)해 달았지만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지금의 보신각종은 돈의문(敦義門 : 西大門) 안에 있는 신덕왕후정릉(神德王后貞陵)의 능사(陵寺)에 있었으나, 정릉사(貞陵寺)가 폐사되어 원각사(圓閣寺)로 옮겼으며,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가 이 종을 숭례문(崇禮門 : 南大門)으로 옮기려던 것을 임진왜란 후인 1594년(선조 27) 종루(鐘樓)에 걸어두었다. 그 뒤 이 종루가 1869년(고종 6)에 불타고, 1895년(고종 32)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걸게 됨에 따라 이때부터 보신각종이라 부르게 되었다.
보신각종은 화염으로 종신(鐘身)이 많이 훼손된 상태인데, 높이 3.18m, 입지름 2.28m 크기의 육중한 대종이며, 전형적인 조선 초기 종 형식인 한중혼효형(韓中混淆型)을 취하고 있다. 즉, 음통(音筒) 없이 쌍룡(雙龍)의 종뉴(鐘鈕) 아래 포탄형의 종신이 연결된 형태로, 종신형은 볼록한 정부(頂部)로부터 벌어지며 내려오던 선이 종복(鐘腹)에 이르러 구연부(口緣部)를 향하여 수직으로 떨어지는 선형(線形)을 그리고 있다.
종신에는 종복 중앙에 굵은 선과 위아래 가는 선의 띠장식대[太彫線帶]가 둘러져 있는데, 윗부분에는 상대(上帶) 대신 1줄의 띠장식이 있고, 그 아래 유곽(乳廓)이 없이 1구(軀)만의 보살상이 남아 있으며, 아랫부분에는 구연부(口緣部)에서 위쪽으로 하대(下帶) 대신 2줄의 띠장식과 명문(銘文)이 돋을새김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종뉴는 쌍룡이 함께 여의주(如意珠)를 가지고 있는 형태인데, 역동적인 몸체, 용맹스러운 얼굴 등에서 사실성(寫實性)과 조각성(彫刻性)이 농후한 편이다. 종신은 전체적으로 볼륨감과 팽창감이 감도는 편이고, 아마도 주조 당시는 4보살(菩薩)이 교대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이, 당좌(撞座)가 없어진 점과 쌍룡의 종뉴, 볼록한 정부, 띠장식, 상하대의 분리현상, 4보살상의 배치 등은 조선 초기 종들에서 보이는 특징이며, 쌍룡·띠장식 등은 중국적인 요소이다. 이 외래적인 요소는 고려 말 원나라의 장인(匠人)들이 만든 연복사(演福寺) 종의 형식을 따른 것이고, 조선 초기 흥천사종(興天寺鐘, 1462)에 나타나며, 조선 중기를 거쳐 후기에는 토착화되어 한국종의 일면이 되었다.
또한, 이 종은 흥천사종·낙산사종(洛山寺鐘, 1469)·봉선사종(1469)과 더불어 왕실에서 주성한 종이어서 주조관계 인물이 거의 같은데, 감역(監役) 김덕생(金德生) 아래 주성장(鑄成匠) 정길산(鄭吉山)·김몽총(金蒙寵) 등 직분이 세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륨감 있는 대표적인 조선 초기의 종으로, 오랫동안 조석을 알리고 또 제야의 종으로 사용되었으므로 한국범종사상 의의가 매우 깊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