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쌈박한황새266
쌈박한황새26622.08.11

여유자금이 생긴다면 연금 추가납입과 저축 중 뭐가 더 이득일까요?

연금은 연말정산혜택을 받으려고 연 400만원까지만 납입하고 있어요

여유자금이 생기면 1년씩하는 적금을 들어 놓고 있구요

연금과 적금은 기본적으로 수령시기가 다르다는것도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회전자금으로 쓸 수도 있어 주로 적금을 이용하는 편이기도 합니다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어떤 선택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7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론 종신보험이 좋습니다. 종신보험은 사망목적 이지만 그 기능을 활용에 수없이 가치가 상승 합니다.

    30년이상은 보험이 훨씬 이득 입니다. 연금이든 종신이든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저라면 여유자금이 있다면 회전이 가능하며 정해진 기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저축으로

    할 것 같습니다.

    원래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납입 이후는 보험이 유리하다고 생각이 들지만 사실상 생각보다

    삶에서 중간중간 위기가 닥쳐서..연금을 해지하는 사람을 많이 봤습니다..ㅠㅡㅠ

    현실적으로는 저축이 좋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용 보험전문가입니다.

    진짜 잘하고 계십니다

    여유자금이 생긴다면 연금 추가납입보다는 irp 를하시던가 지금처럼 적금을 추가하시는걸 권해드립니다

    연금에 추가납입은 추천안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진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은 세액공제혜택이라는게 정말 크게 느껴지시겠지만

    이상품은 비과세가 아니라는것이 함정입니다.

    세액공제해줬으니까 다시 받아갈 때 뱉어내! 라는 식입니다만

    일시금으로 받을 시에는 기타소득세로 16.4%를 떼어가고

    연금으로 받을시에는 나이에 따라 5.5%까지 떼어갑니다.

    문제는 세액공제비율은 계속 같은데

    세금은 선진국이 되어갈수록 더욱 오르며 연금저축은 지급받을 당시 세법을 따라가는것으로

    그당시에는 세금이 더 커져서 더 안좋아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적금은... 은행저축은 이제 효율이 안나와서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20년초에 하나은행에서 5%적금이 나와서 사람들이 몰려 3일간 전산마비가 된적이 있습니다.

    그때 그 적금상품의 조건은

    월 30만원 / 1년 제한이였습니다.

    그런데 이상품을 최대한도로 가입하고 납입을 다해도 받는 이자는 겨우 8만원수준으로

    월 7천원도 받지 못합니다.

    왜냐면 적금이란것은 실금리가 광고하는 금리의 절반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적금을 광고할 때 사용하는 금리는 예금을 기준으로 하며 적금은 예금과 달리 매달 들어가있는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예금대비 이자가 줄어듭니다.

    과거에는 이율이 20%는 나오고 이자소득세도 3%밖에 안되었지만

    현재는 이율이 평균 3%에 이자소득세는 15.4%를 떼어갑니다.

    이번 기준금리 상승이후에는 다시 떨어질것이고 이자소득세는 더더욱 늘어날것입니다.

    사실상 적금은 이제 저축에 쓰기 어렵죠..

    티끌모아 티끌과 딱 들어맞는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태욱 보험전문가입니다.

    적금으로 넣으세요

    400맞추고 계신다면 추가납입할이유가 크게 없다고봅니다.

    저축한돈은 급할때 쓸수있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연금으로 가입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단, 보험의 경우 유동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긴급자금이나 갑자기 돈이 필요할 떄 보험을 해약하면 손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여유자금이 확실하게 노후대비를 위한 자금이면 연금을 가입하시고 다른 자금 용도가 있으시면 저축을 가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1. 연금 비과세 요건

    연금보험의 비과세 요건이 월납 150만원 이하 / 연간 1800만원 이하(추가납입 포함)

    가입기간 10년 이상 / 납입기간 5년 이상

    -우선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면 전액에 대해서 다 과세가 됩니다.

    연간 1800만원 한도가 안넘으시면 비과세 혜택을 볼수가있으시구요.

    연금 추가납입과 저축중에는 개인 선택이신것같네요 어느게 더낫다고 할수가없거든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CFP입니다.

    장기적으로 묶어둘수 있는 여력이 되신돈이면 추가납입 좋습니다. 하지만 단중기에 필요할 가능성이 큰 금액일수록 회전자금으로 쓸수 있도록 적금이 효율적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당장 급하게 쓸돈이 아닌경우 연금이 더 나아보입니다. 단기적으로 돈을 굴리거나 필요할것같으면 적금이고요. 이미 둘다하고있는경우 좀더 안정적인 원금보장형 재테크를 해보시는것도 추천드려요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연금 추가납입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회전자금(자금유동성) 적인 부분을 고려하셔서 적당히 진행하시길 바래요.

    🍀추가 문의는 댓글이나 프로필 확인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