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

혜성에는 왜 꼬리가 있는 것일까요?

우주에 있는 항성, 행성에는 꼬리 같은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혜성이 지구 주위를 지날 때마다 혜성에는 꼬리가 보이는데요, 혜성에는 왜 꼬리가 있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혜성은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천체입니다. 혜성이 태양 가까이 다가갈 때, 태양의 열에 의해 얼음이 승화하여 가스와 먼지가 분출됩니다. 태양풍은 이 가스와 먼지를 밀어내며, 이것이 혜성의 꼬리를 형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혜성이 내태양계로 접근할 때 혜성에 있는 휘발성 물질이 태양광을 받아 가열되어 혜성 밖으로 방출되며, 이 때 혜성에 있는 먼지를 같이 끌고 나갑니다다. 휘발성 기체와 먼지는 각자 꼬리를 형성하며, 먼지 꼬리는 태양광을 반사해 빛나고, 기체 꼬리는 이온화를 통해 발광하게 되죠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혜성의 꼬리는 태양에 가까워질 때 형성됩니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 태양의 열에 의해 얼음이 녹아 가스와 먼지가 발생하고 이 가스와 먼지는 혜성의 꼬리를 형성하는데, 이 꼬리는 크게 이온과 먼지 두가지로 나뉩니다.

      이온 꼬리는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혜성의 얼음에서 방출된 이온들이 태양풍에 의해 밀려 형성되는 것이고 먼지 꼬리는 혜성의 먼지가 태양의 중력에 의해 끌려 형성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 있는 항성 행성에는

      꼬리가 없는 이유는 단단한

      암석이나 가스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증발하거나

      날아가는 물질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혜성은 얼음 먼지 바위 등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진 덜 밀집된 천체입니다.

      혜성이 태양 가까이 접근하면 태양 에너지가 핵의

      얼음을 증발시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거대한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이 분위기를 코마라고 합니다.

      태양풍은 태양에서

      끊임없이 뿜어져 나오는 고속의 전하 입자 흐름입니다.

      태양풍은 코마에 있는 가스와 먼지를 밀어내고 꼬리를 만들어냅니다.

      자는 태양풍에 의해 밀려나지만 가스 입자보다 질

      량이 크기 때문에 덜 휘어집니다.

      먼지 꼬리는 일반적으로 흰색이며 혜성 궤도의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습니다.

      태양풍에 의해 이온화된 가스 입자는 태양 자기장에 의해

      끌려 긴 꼬리를 형성합니다.

      이온 꼬리는 일반적으로 푸른색이며 먼지 꼬리보다 더 길고 뚜렷합니다.

      혜성이 태양에 더 가까이 다가갈수록 코마에서 더 많

      은 가스와 먼지가 증발하여 꼬리가 더 길고 밝아집니다.

      혜성이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코마에서 증발하는 물질이 줄

      어들어 꼬리가 점점 사라집니다.

      혜성의 꼬리는 혜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꼬리의 길이와 밝기는 혜성의 활동 수준을 나타냅니다.

      꼬리의 방향은 혜성의 궤도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혜성의 꼬리는 태양풍과 혜성의 상호 작용에 의해 만들어

      집니다. 꼬리는 혜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밤하늘에서 아름다운 광경을 선사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