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여보야
여보야24.04.09

지금 우리나라 경제는 고물가 특히 식료품 및 과일값 폭등으로 어려운데 어느 정도 인지요?

2024년 우리 대한민국의 물가는 살인적이다 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폭등하고 있습니다ㆍ정부에서 발표하는 2~3%대의 물가상승률과는 괴리가 있다고 합니다ㆍ

특히 외식물가 ,과일값등은 엄청 올랐다하는데 도대체 얼마나 올랐는지 상세히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 현재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정부 발표와 달리 서민들이 실제 느끼기에는 훨씬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일상생활과 밀접한 식료품, 외식 물가 등이 큰 폭으로 오르며 가계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1. 외식 물가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2023년 외식 물가는 전년 대비 15.8% 상승했습니다.

    - 2024년 들어서도 외식 물가는 지속 상승 중이며, 상반기 평균 약 8% 인상되었습니다.

    - 김밥, 라면 등 단품 메뉴부터 한식, 양식, 커피전문점 메뉴 등 전반적인 가격 인상이 있었습니다.

    2. 과일 가격

    - 2023년 과일 가격은 전년 대비 20% 가량 올랐으며, 2024년에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상반기 사과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5%, 배는 32%, 복숭아는 18% 상승했습니다.

    - 수입 과일 가격도 환율 영향 등으로 10~20% 가량 올랐습니다.

    3. 가공식품

    - 라면, 즉석밥, 냉동식품, 통조림 등 가공식품도 원재료값, 인건비 상승 등으로 평균 10% 이상 인상되었습니다.

    - 밀가루, 식용유 등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며 관련 가공식품 가격도 크게 올랐습니다.

    4. 농축수산물

    - 쌀값은 2023년산 기준 전년 대비 15.8% 상승했으며, 2024년산도 비슷한 수준입니다.

    - 소고기, 돼지고기, 달걀 등 축산물 가격도 사료값 인상, 공급 불안정 등으로 평균 8% 정도 올랐습니다.

    - 수산물은 어획량 감소, 유류비 상승 영향으로 전년 대비 10% 넘게 상승했습니다.

    정부의 공식 물가상승률과 체감 물가의 괴리가 크며, 특히 일상 소비와 밀접한 품목일수록 가격 인상률이 높아 서민 가계에 부담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의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외식물가가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평균적인 물가 상승률인 3%에 비해서 큰 폭의 상승이 이루어진 80%에서 100%까지의 상승이 발생한 상황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 3월을 기준으로 과일 38.3%, 채소·해조 11.3% 등

    물가가 엄청나게 상승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우리나라 고물가가 얼마나 심한 정도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 그 중에서도 식료품에 대한 물가는 이미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국가 중에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빵이라던지, 최근 화자된 사과는 그 중에서도 제일 높은 식료품 중에 하나입니다.